따뜻한 우체부 :: '인피니티' 태그의 글 목록

달력

7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닛산의 후륜구동 스포트 세단 스카이라인의 파생 모델인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가 부활할 예정이다.

 

외관 디자인은 최신 닛산, 인피니티 디자인을 채용해 기존 디자인에서 크게 변신한다. 예상도를 보면 전체 실루엣은 닛산 아리아 처럼 부드럽고 미래적이다. 헤드라이트를 포함한 프런트 마스크는 닛산 엑스트레일과 같이 샤프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윙 타입의 프론트 그릴은 닛산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한다.

 

실내에는 풀 디지털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 듀얼 디스플레이를 적용한다. 아울러 최신 운전 지원 시스템 ' 프로 파일럿 2.0 ' 최신 세대가 탑재된다.

인피니티 EX35
인피니티 QX50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는 인피니티 ' EX35'의 닛산 버전으로 일본 시장에 투입된 모델이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판매됐다. 일본에서는 생산 및 판매가 종료가 되었지만, 해외에서는 2014년부터 인피니티 QX50 이름으로 풀체인해 계속 판매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도 인피니티의 라인업으로 판매된 바 있다.

스카이라인 세단의 풀체인지 모델은 스포츠 쿠페 닛산 페어레이디Z에서 앞서 적용된 VR30DETT 6기통 트윈터보 엔진을 장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크로스오버에 탑재되는 파워트레인은 2.0리터 직렬 4기통 'VC-Turbo'+듀얼 모터로 구동하는 'e-POWER' 다. 최고 출력 450마력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스카이라인 세단의 풀체인지 모델의 월드 프리미어는 2024년으로 예상된다. 크로스오버는 2025년 발표한다. 4개의 버전으로 등장하는 토요타 크라운에 대항하기 위해, 스카이라인 이름을 단 새로운 파생 모델 도입도 고려 되고 있다.

 

아쉽게도 차세대 스카이라인 모델은 닛산의 국내 시장 철수로 인해 국내에서는 만나보기 어려워 보인다.

 

김태현 에디터 th.kim@carguy.kr

카가이 자율주행 연구소 이동의 즐거움 <카가이> www.carguy.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인피니티는 신형 QX60를 24일(미국시간) 공개했다. QX60는 7인승 대형 SUV로 인피니티의 최신 디자인 언어가 입혀졌다. 특히 2열과 3열에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를 통해 거주성을 높였다. 3.5리터 V6 가솔린 엔진과 레벨2 수준의 반자율 주행 시스템이 적용됐다.

신형 QX60에는 QX60 모노그래프 콘셉트카의 디자인 요소가 그대로 입혀졌다. 전면부에는 인피니티 라인업의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크롬으로 마감된 전후면부 범퍼 스키드 플레이트로 SUV 특유의 이미지를 강조했다. 3열 창문의 크기를 키워 탑승객의 개방감을 극대화했다.

실내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 및 센터페시아 터치 디스플레이, 통풍 및 열선 기능이 포함된 2열 캡틴 시트, 리얼 오픈 포어 우드 트림, 고급 가죽 소재, 총 7개의 USB 포트 등이 적용됐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무선 애플 카플레이와 유선 안드로이드 오토를 지원한다.

2열 시트에는 캐리 오버 기능이 탑재돼 어린이용 카시트가 설치된 경우에도 3열에 쉽게 탑승할 수 있다. 2열과 3열 시트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됐으며, 힙 투 힐(hip-to-heel) 공간이 있어 탑승자의 거주성을 높였다. 1열 무중력 시트는 엉덩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한다.

신형 QX60는 3.5리터 V6 VQ 엔진과 9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299마력, 최대토크 37.3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최대 견인력은 2722kg이다. 전륜구동을 기본으로 사륜구동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사륜구동 시스템은 최대 50%의 구동력을 후륜으로 배분한다.

액티브 브레이크 리미티드 슬립 토크 벡터링 시스템으로 4개 휠의 제동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신형 QX60는 커브 진입전 속도를 낮추는 내비게이션 기반의 고속도로 주행 보조, 차선 중앙 유지 보조, 교통 표지판 인식, 긴급 제동 등이 포함된 ProPilot 시스템을 지원한다.

쉽고 빠른 자동차 전문 뉴스채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콘셉트카 모음 갤러리갤러리 이동

닛산 카티산(Cartisans) 컨셉 </figcation>

[데일리카 김용현 기자] 영국 런던에 위치한 닛산 디자인 유럽(Nissan Design Europe)은 24일(현지 시각)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의 카티산(Cartisans) 콘셉트를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카티산 콘셉트는 회사 내부에서 진행된 디자인 프로젝트로 보이며, 대략 1/4 스케일의 모형으로 제작됐다.

닛산 카티산(Cartisans) 컨셉 </figcation>

카티산 콘셉트는 예술 작품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유기적인 아름다움을 담아 디자인됐다. 닛산 디자인 유럽은 '파괴를 위한 욕망'을 모티브로 했다고 소개한다.

유기적인 형상과 더불어 차체 외관의 재질도 눈에 띈다. 철판 대신 글래스의 소재가 사용됐는데, 캐빈 공간의 일부는 실내 공간을 투명하게 노출시키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어두운 색상으로 불투명하게 구성돼 독특한 외관 형상과 마찬가지로 불규칙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닛산 카티산(Cartisans) 컨셉 </figcation>

또 투명한 부분일지라도 빛에 의해 생긴 리플렉션에 의해 불투명하게 가려지는 모습에서도 디자인의 재미를 찾을 수 있다.

한편, 닛산 디자인 유럽은 닛산과 인피니티 두 브랜드의 디자인을 담당하며, 최근에는 닛산 캐시카이의 디자인을 선보인 바 있다.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인피니티는 QX55를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QX55는 인피니티 FX와 유사한 아치형 루프라인을 특징으로 3차원 패턴이 삽입된 그릴, 듀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최고출력 268마력의 2.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 등이 탑재됐다. 2021년 상반기 북미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QX55에는 가변 압축 2.0리터 터보차저 4기통 가솔린 엔진과 CVT가 적용돼 최고출력 268마력, 최대토크 38.7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됐다. 전륜구동 기반의 사륜구동 시스템은 차량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면 후륜으로 최대 50%의 구동력을 분배한다.

QX55의 외관은 QX50을 기반으로 한다. 전면부는 LED 헤드램프와 유광 블랙 포인트가 가미된 공기흡입구, 3차원 패턴이 삽입된 그릴 등이 적용됐다. 측면부는 B필러부터 가파르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을 갖췄으며, 20인치 휠이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후면부는 각진 윈도우와 독특한 스포일러가 탑재된 리프트 게이트가 탑재됐다. 디지털 피아노 키로 불리는 테일램프는 45개의 개별 LED로 구성됐다. 전동식 리프트 게이트의 버튼은 인피니티 엠블럼에 배치됐다. 사각형 모양의 듀얼 머플러가 범퍼 하단에 적용됐다.

실내에는 듀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됐다. 인피니티 최초로 무선 애플 카플레이를 지원한다. 2열 레그룸 공간은 최대 983mm다. 트렁크 공간은 2열 시트를 폴딩하지 않아도 최대 762ℓ다. 전방 충돌 방지, 프로파일럿 어시스트 등 ADAS 시스템이 제공된다.

쉽고 빠른 자동차 전문 뉴스채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리콜은 악몽과도 같다. 리콜이 발표되면 계획에 없던 지출이 생길 뿐만 아니라 경쟁사로부터 조롱을 당하기도 하고, 판매 감소로 이어지며, 재설계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리콜을 하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슬프게도 리콜은 종종 일어난다. 비교적 심각하지 않은 문제부터 다카타 에어백 사태처럼 통제 불능 수준도 있다.

외신 핫카는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가장 많이 리콜이 된 자동차 10대를 선정했다. 어떤 모델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는지 살펴보자.

10. 2017~2018 닷지 램 = 180,000건

램은 트럭에 있어서 오랜 명성을 가진 브랜드다. 하지만 2017년과 2018년 램 250, 3500, 4500, 5500을 180,000대 이상 리콜을 하게 된다. 리콜 사유는 변속기 때문이다. 급출발 방지 장치인 BSTI(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에서 고장을 일으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BSTI로 인해 움직일 수가 없었다고 한다.

9. 2015~2017 메르세데스 C클래스, CLA, E클래스, GLA, GLC = 1,000,000건

독일은 정밀한 건축과 독창적인 자동차 제조 기술로 오랜 시간 찬사를 받아왔다. 그중 메르세데스 벤츠는 독일 브랜드 최고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2015~2017년에는 이름과 걸맞지 않은 리콜이 발생했다. 시동이 걸리지 않았으며, 과열되기 쉬운 시동기로 인해 차에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었지만 100만여 대가 리콜됐다.

8. 2013 폭스바겐 라인업 = 3,000,000건

2013년 폭스바겐은 대부분의 라인업에서 독특한 문제를 경험했다. 특히 DQ200 기어 박스를 장착한 2013년형 모델은 오작동을 겪었다. 7단 듀얼 클러치 시스템을 갖춘 모델은 주행 중 정지 및 고장을 일으켰다.

7. 2016 GM 라인업 = 3,600,000건

2016년 GM은 뷰익 라크로스, 쉐보레 SS, 콜벳, 카프리스 실버라도, GMC 시에라 등 360만 대 이상의 차량을 리콜했다. GM에 따르면 이 모델들은 전면 에어백 전개 과정에서 센서 결함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차량이 충돌을 하더라도 전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이 외에 엔진 마운트 문제도 발생했다.

6. 2015 도요타 = 6,500,000건

2015년 도요타는 유리창 문제 때문에 리콜하게 된다. 단순히 윈도우 스위치 문제라고 하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스위치 오작동으로 인해 차량 전체가 불탈 가능성이 있어 위험했다. 전면 윈도우 스위치 문제는 사실 2015년에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었으며, 지난 10여 년간 문제가 쌓여 총 1400만 대를 리콜했다.

5. 2014~2018 포드 퓨전, 링컨 MKZ = 1,300,000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포드 퓨전과 링컨 MKZ는 100만 건 이상 리콜하게 된다. 핸들 볼트 문제가 주원인으로 2016년 처음 리콜을 시작했다. 또한 토크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도 문제가 지적됐다. 같은 해 리콜을 촉발시킨 부상 사례가 보고됐다.

4. 2012 도요타 프리우스, 프리우스 V = 807,000건

도요타 프리우스는 효율적인 연비로 좋은 평을 받은 모델이다. 2018년에만 미국에서 약 8만 대 이상 팔렸다. 하지만 세이프 운전 모드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리콜했다.

3. 2010~2013 기아 포르테, 옵티마, 세도나 = 507,600건

기아차는 에어백 제어장치가 충돌 시 시트벨트 프리 텐셔너의 전개를 막을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리콜했다. 다행스럽게도 문제가 일찍 발견돼 2013년 초 리콜을 시작할 수 있었다.

2. 2012~2017 아우디 A4, A5, A6, Q5 = 350,000건

올해 초 아우디는 약 35만 대의 세단, 쿠페, SUV를 리콜했다. 전기식 냉각제 펌프 문제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고 누전으로 인한 잠재적 화제 위험이 있었다.

1. 2013~2019 닛산, 인피니티 라인업 = 3,315,000건

2013년 닛산은 에어백 센서 오작동으로 310만 대의 차량을 리콜했다. 센서가 승객이 성인인지, 어린이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였다. 해당 모델엔 막시마, 무라노, 패스파인더, 인피니티 라인업이 있었다. 또한 닛산은 2019년 ABS 펌프 오작동 문제로 215,000대를 리콜해야 했다. 문제는 유체가 내부 회로로 누출돼 화재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김다영 기자 

관련 태그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