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철, 타이어 마모 상태 확인하고 공기압 10% 높여야 장마철에는 타이어의 마모상태를 잘 점검해야 한다. 타이어가 많이 닳아 있으면 빗길에서 운전할 때 잘 미끄러지고 제동 거리가 길어져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마모상태는 타이어의 옆 부분에 있는 삼각형('▲') 표시로 확인한다. '▲'이 표시된 위쪽을 살펴보면 홈 속에 돌출된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마모한계 표시다.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는 마모한계 표시 높이가 1.6mm로 타이어가 마모되어 홈 속에 돌출된 부위가 밖으로 나타날 경우, 그 타이어는 마모가 다 되어 수명이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표시이므로 새 타이어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또한 장마철에는 공기압을 평상시보다 10%정도 높게 해주는 것이 좋다. 타이어 표면의 배수 성능이 좋아져 미끄러짐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 비포장 도로 운행 휠얼라인먼트 신경 써야 장시간 비포장 길을 주행하면 휠얼라인먼트나 밸런스가 틀어지기 쉽다.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뒤 차량이 쏠리거나 조향장치에 이상을 느꼈을 경우 가까운 정비소에 들러 휠얼라인먼트를 점검해봐야 한다. 또 비포장 길을 주행하고 난 뒤에는 타이어와 휠 사이, 또는 타이어 표면의 홈 사이에 작은 못이나 날카로운 유리조각이 박혀 있을 수도 있다. 당장은 괜찮아도 어느 순간부터 공기가 빠지기 시작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레저용 차량의 타이어는 타이어 표면의 홈이 넓기 때문에 자갈이 끼기 쉽다. 이 상태로 달리면 소음이 심해지는 것은 물론 펑크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포장 도로 운행 뒤에는 타이어에 이물질이 박혀 있지 않은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 뜨거운 여름, 이상 발열은 타이어의 적 주행 중에는 타이어에 열이 발생한다. 특히 과적이나 공기압 부족, 과속의 경우에는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은 타이어 내부에 축적된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타이어 내부의 열이 크게 올라간다. 타이어 내부의 한계 온도는 약 125℃. 이 온도 이상으로 열이 올라가면 타이어를 구성하는 고무, 타이어 코드 등의 접착력이 떨어져 결국 펑크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타이어 발열로 인한 사고를 막으려면 타이어제조회사에서 지정한 공기압과 하중을 지키고 고속도로 주행 2~3시간에 한번씩 휴식해줄 필요가 있다. 타이어는 10분 휴식으로 내부 온도가 약 20℃ 정도 떨어진다. 한국타이어 문정수 홍보팀장은 “휴가철 장거리 운전을 떠나기 전에 잠시 타이어 마모 상태와 공기압을 점검하는 것만으로도 안전 운행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 “새 타이어를 구입할 경우 휠얼라인먼트 점검을 함께 받는 것이 타이어 편마모 발생을 줄여 타이어를 오래 쓸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자동차점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정비관련 피해구제 사례 (0) | 2008.06.08 |
---|---|
긴급상황! 긴급대처법 23가지! (0) | 2008.06.08 |
기름값 버는 착한 운전법…Eco Drive 10 계명 (0) | 2008.06.03 |
승객의 생명을 보호하는 풍선 - Advanced Airbag System (0) | 2008.06.03 |
슈퍼챠저? 터보챠저? 다양한 엔진형식 (0) | 2008.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