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람보르기니' 태그의 글 목록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원오프(one-off) 모델, 말그대로 단 한 대만 존재하는 스페셜 차량이 등장했다. 한 눈에 봐도 시선을 압도하는 듯한 실루엣과, 대담하면서도 강렬한 슈퍼카 분위기. 외장 도색 작업에만 480시간이 추가 소요됐다고 한다. 제로백 2.5초, 최고속도 350km/h 이상, 최고출력은 1,015마력. 바로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를 만나볼 시간이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가 지난 11월 10일(현지 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람보르기니 에스페리엔자 아르떼 행사에서 원오프(one-off) 모델,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를 공개해 이목을 끌었다.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는 중국 시장을 위한 단 한 대의 스페셜 모델로, 람보르기니의 디자인 센터인 센트로 스틸레(Centro Stile)와 고객맞춤형 부서 애드퍼스넘(Ad Personam)이 협력해 람보르기니만의 혁신과 예술적 본질을 독창적으로 담아냈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2023년에 출시된 레부엘토는 브랜드 최초의 V1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HPEV(High-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 슈퍼 스포츠카로, 새로운 구조와 혁신적인 디자인, 최대 효율의 공기역학 설계, 그리고 새로운 탄소 프레임 개념을 통해 성능, 스포츠성을 한층 끌어올렸다.

레부엘토는 자연흡기 V12 엔진과 3개의 전기 모터, 8단 듀얼 클러치 기어박스를 결합해 최고 출력 1,015마력(CV)을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에 이르는 데 걸리는 시간(제로백)은 단 2.5초가 소요된다. 최고속도는 350km/h 이상에 달한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는 람보르기니의 전동화 로드맵인 '디레지오네 코르 타우리(Direzione Cor Tauri, 황소자리의 심장을 향하여)' 전략을 상징한다.

외관 디자인은 황소자리(Taurus) 별자리의 가장 빛나는 별을 향해 우주를 탐험하는 이미지를 구현했으며, 기본 생산 기간 외에도 추가로 480시간이 소요된 정교한 외장 도색 작업으로 완성됐다.

람보르기니 디자인 디렉터 밋챠 보커트(Mitja Borkert)는 “람보르기니는 혁신적인 디자인, 독보적인 성능 그리고 무한한 커스터마이징 가능성을 추구한다”며 “이번 핸드메이드 예술 작품은 람보르기니 디자인 센터, 센트로 스틸레의 창의성을 극대화하여 레부엘토가 지닌 강렬한 힘과 스릴을 독창적으로 표현했다”고 말했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람보르기니의 애드 퍼스넘(Ad Personam) 프로그램은 고객이 자신의 개성을 차량에 반영할 수 있도록 무한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한다. 색상부터 소재까지 모든 선택지는 람보르기니의 엄격한 품질 기준과 뛰어난 디자인 철학을 충실히 반영한다.

모두 수작업으로 칠해진 로쏘 마스(Rosso Mars, 레드), 아란치오 닥(Arancio Dac, 오렌지), 아란치오 아포디스(Arancio Apodis, 오렌지) 외관 컬러는 네로 페가소(Nero Pegaso, 블랙)에서 로쏘 에페스토(Rosso Efesto, 메탈릭 레드) 컬러로 이어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연출하며, 로쏘 에페스토 컬러의 리어 디퓨저는 차량의 역동성을 한층 더 강조해준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실내는 네로 아데(Nero Ade, 블랙) 색상을 기본으로 로쏘 에페스토 컬러로 액센트를 더해 세련미를 극대화한다. 내부 디테일은 정교한 장인 정신을 반영하며, 로고를 돋보이게 하는 역방향 스티칭과 파이핑 작업에는 추가로 53시간이 소요됐다.

또한, 단색의 가죽과 코르사텍스(Corsatex by Dinamica) 소재를 사용해 대조를 이루는 정밀한 스티칭과 파이핑으로 완성되었다. 오페라 유니카의 플레이트는 탄소섬유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로쏘 에페스토와 비앙코 모노세루스(Bianco Monocerus, 화이트) 색상의 문구가 어우러져 우아함을 더한다.

(자료=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람보르기니의 CEO 스테판 윙켈만(Stephan Winkelmann)은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는 속도, 파워, 예술성을 완벽하게 융합한 작품” 이라며, “자동차와 예술 영역에서 모두 탁월함을 추구하는 람보르기니의 예술적 혁신이 이 작품을 통해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되었다”고 말했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람보르기니가 테메라리오(Temerario)의 성공을 확신해 주목된다. 테메라리오는 우라칸의 후속으로 V8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탑재해 합산 총 출력 920마력을 발휘한다. 테메라리오는 람보르기니 라인업의 하이브리드 전환을 마무리하는 모델이다.

테메라리오는 우라칸을 대체하는 람보르기니 엔트리 스포츠카다. 테메라리오는 4.0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 전륜 2개와 후륜 1개 총 3개 전기모터, 8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 3.8kWh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탑재했다. 합산 총 출력 920마력을 발휘한다.

람보르기니 마케팅 최고 책임자 페데리코 포스치니는 고객들이 우라칸의 V10 엔진을 그리워할지에 대한 질문에 "V10에서 V8로 가는 것이 아니라 10에서 1만으로 가는 것이다. 4.0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은 이례적으로 레드존이 1만rpm이다. 유일한 엔진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테메라리오는 람보르기니 라인업의 하이브리드 전환을 마무리하는 모델이다. 레부엘토와 우라칸 SE를 포함해 우리는 역대 가장 강력한 라인업을 갖췄다. 테메라리오를 위해 개발된 V8 엔진은 특별하며, 3.8kWh 배터리를 낮게 배치해 무게 중심을 낮췄다"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2개의 전륜 전기모터가 능동형 토크 벡터링으로 작용해 트랙에서 완벽한 핸들링을 제공할 것이다. 이전 모델보다 트랙 경험 측면에서 업그레이드됐다고 생각한다. 테메라리오는 레부엘토 대비 더 다재다능하고 사용하기 쉽다. 고객들이 만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테메라리오는 사륜구동 방식으로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까지 단 2.7초가 소요된다. 최고속도는 343km/h다. 테메라리오는 독특한 엔진 사운드, 엔진에서 차체와 시트로 전달되는 일부 진동을 의도적으로 설계해 운전자에게 스포티한 감각을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테메라리오는 람보르기니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을 지원한다. 2개의 전륜 전기모터로 구동이 가능하다. 테메라리오의 EV 주행거리는 약 3.5km다. 테메라리오는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를 바탕으로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 주행 영상 녹화, 드리프트 모드 등을 지원한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아벤타도르의 후속 모델은 3개의 전기 모터와 V12 엔진으로 1015마력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글 | 유일한 기자 사진제공 | 람보르기니 코리아

람보르기니가 창립 60주년을 맞아 첫 번째 HPEV(High 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하이퍼카 레부엘토(Revuelto)를 최초 공개했다.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의 상징인 V12엔진과 3개의 전기모터가 결합되어 최대 1015마력이라는 폭발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V12에서는 처음으로 적용되는 더블 클러치 기어박스(DCT)를 통해 스포티함, 운전의 즐거움이라는 측면 모두를 쟁취했다.

레부엘토의 파워트레인은 새로운 엔진과 여러 장치들이 결합되는데, 새로운 엔진은 탁월한 중량비를 제공하는 2개의 프론트 축방향 모터와 시너지를 발휘하며, 방사형 전동모터(Radial Flux Electric Motor)는 람보르기니에 V12 모델에 최초로 탑재된 8단 DCT 위에 위치해 있다. 3개의 전기 모터는 리튬 이온 고전력(4500W/kg) 배터리 팩으로 구동되어 전기 주행모드를 지원한다.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람보르기니 스테판 윙켈만(Stephan Winkelmann) 회장은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 전동화 전략에서 중요한 핵심 축이다.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의 DNA를 유지하며 혁신적인 성능과 독특한 디자인을 보여준다"며 "하이브리드 기술을 통해 탄소배출을 줄여 지속가능성 측면과 고객의 니즈를 모두 만족시켰다"라고 설명했다.

레부엘토에 사용된 카본 섬유는 람보르기니만의 특별한 기술로 만들어 낸 소재이다. 람보르기니의 새로운 차체인 모노퓨슬로지(Monofuselage)를 비롯해 도어와 범퍼를 제외한 모든 차체 구성에 사용됐다. 이 소재를 통해 차량의 경량화에 성공했고, 강력한 엔진 출력과 함께 람보르기니 역사상 최고의 출력 대 중량비인 1.75kg/마력(CV)를 달성했다.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람보르기니 레부엘토는 향상된 기술력으로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2.5초, 200km/h까지 끌어올리는 시간은 7초 이하이며 최고 350km/h 이상의 속도를 낸다. 이런 엄청난 출력은 전기 토크 벡터링 도입과 전기 주행 모드에서도 사용 가능한 4륜 구동이 결합한 결과이다. 레부엘토는 슈퍼 스포츠카가 트랙과 일상의 운전 모두 엄청난 성능을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람보르기니 최고 기술 책임자(CTO) 루벤 모어(Rouven Mohr)는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의 기술력을 다시한번 끌어올린 프로젝트였다"며 "모든 환경에서 감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운전을 통해 운전의 재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응답성, 민첩성 등 중요한 요소의 발전으로 운전의 감정적 정점을 이뤄냈다"고 덧붙였다.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실내

람보르기니는 레부엘토를 통해 디자인의 미래를 제시한다.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 디자인 DNA에 기반해 일관성을 유지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을 확립했다. 레부엘토를 통해 과거의 상징적이고 전설적인 V12엔진 모델과 연결되며, 새로운 미래를 향한 문을 열었다.

레부엘토는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으로 발전함에 있어 전설적인 이전 V12엔진 모델에서 영감을 받았다. 람보르기니 V12 슈퍼 스포츠카 DNA를 정의하는 요소 중 가장 독특한 특징인 수직으로 열리는 시저도어를 도입하여 레부엘토의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또한 디아블로의 리어 펜더 플로팅 블레이드, 무르시엘라고의 근육질 전면부의 디자인들이 반영됐다.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람보르기니 디자인 책임자 밋챠 보커트(Mitja Borkert)는 "레부엘토의 독특한 Y자형 라이트 사인은 앞으로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에 있어서 상징적인 디자인이 될 것이다"며 "람보르기니의 철학인 '조종사처럼 느낀다'를 기본으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쓴 인테리어는 대시보드와 센터 콘솔의 Y자형 디자인을 통해 레이싱카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과 디지털의 조화를 이루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람보르기니는 올해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하이퍼카인 레부엘토를 시작으로 오는 2024년까지 모든 라인업의 전동화 로드맵을 진행하고 있다. 2028년까지 총 25억유로를 투자하는 전동화 계획은 람보르기니 역대 최대 프로젝트다.

자동차 전문 잡지 <모터매거진>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LP 780-4 Ultimae 컨버터블

[데일리카 표민지 기자] 이달 말 출시를 앞두고 람보르기니는 14일(현지시각) 강력한 파워의 아벤타도르 하이브리드 후속 모델과 모노코크 섀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새로 공개해 주목된다. 후속 차량은 현재 코드명 ‘LB744’로 알려져 있으며,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모노코크를 기반으로 한다.

람보르기니는 LB744의 새로운 차체를 ‘모노퓨슬라지(monofuselage)’라고 명명했으며, 항공에서 영감을 받은 모노코크라고 말했다. 이는 경량 카본 및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됐으며, 아벤타도르보다 10% 가벼우면서도 25% 더 단단하다.

람보르기니, LB744 모노코크 섀시

기존 아벤타도르의 전면 구조가 알루미늄이었던 반면, LB744는 포지드 컴포지트(forged composites)를 사용해 제작됐다. 후면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됐으며, 쇼크 업소버 타워와 드라이브트레인 서스펜션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됐다. 아벤타도르에 비해 용접 라인이 상당히 줄었으며, 안정성도 향상됐다고 람보르기니는 말한다. 또 람보르기니는 LB744는 다이내믹 기능에 있어 최고 수준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차량에는 6.5L 자연 흡기 V12엔진과 전기모터 3개로 구성된 파워트레인이 탑재됐다. V12 엔진과 모터는 현재 1,015마력 파워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량에는 3.8kWh 배터리, 새로운 듀얼 클러치, 8단 자동 변속기가 적용될 것이다. 차량의 CO2 배출량과 연비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설정 덕분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람보르기니, LB744 모노코크 섀시

슈테판 윈켈만(Stephan Winkelmann) 람보르기니 CEO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지속 가능한 엔진이라는 이점이 있지만, 이 차의 주요 목표는 배터리를 추가 동력의 가속기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라고 말하며, "차량은 이 정도 무게 치고는 놀라운 힘과 뛰어난 핸들링을 제공합니다" 라고 덧붙였다.

람보르기니, LB744 모노코크 섀시

pyomj@dailycar.co.kr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가 첫 번째 HPEV (High 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슈퍼 스포츠카인 코드명 LB744의 세부사항 일부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 차량은 람보르기니 창립 60주년을 기념하는 올해 출시될 예정이다.

람보르기니는 LB744를 통해 성능과 운전의 즐거움이라는 두가지 측면 모두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새롭게 개발된 아키텍처와 파워트레인이 적용되는 LB744는 합산 출력 1,000마력(CV) 이상을 뿜어내며,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12기통 내연기관 엔진과 3개의 전기 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람보르기니 12기통 모델 중 최초로 더블 클러치 기어박스를 장착한다. 

이 차량은 전례 없는 레이아웃을 선보인다. 새로 개발한 자연흡기 6.5리터 V12 엔진이 미드쉽에 장착되었고 3개의 전기모터가 더해졌는데, 이 중 1개의 모터는 새롭게 개발된 8단 더블 클러치에 통합되어 엔진 뒤쪽에 가로로 장착되게 된다. 쿤타치(Countach) 이후 변속기 터널이었던 공간에는 전기 모터를 구동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장착되었다.

전기 모터는 낮은 회전수에서 출력을 증가시키며, 전기 모터 만으로도 LB744의 구동이 가능하다. 덕분에 LB744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아벤타도르 울티매 대비 30%나 줄일 수 있었다.

람보르기니만의 새로운 아키텍처

람보르기니는 1963년에 출시된 350GT에서 V12엔진을 최초로 사용한 이후 V12 엔진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해왔다. 2019년 시안(Sian)을 선보이면서 12기통 내연기관에 전기모터를 결합시키는 첫 시도를 했다. 당시 시안에 장착된 25kW 전기모터를 활용해 슈퍼 캐퍼시터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V12 엔진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반면 LB744는 전례가 없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처와 새로운 V12 엔진을 통해 HPEV(High 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라는 새로운 장르를 선보인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슈퍼스포츠카이면서, 무게가 가벼운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를 섀시 중앙부에 위치한 트랜스미션 터널 내에 위치시켰다. 이 같은 혁신적인 설계 덕분에 배출가스는 줄이면서 성능은 극대화할 수 있다.

신형 엔진의 배기량은 6.5리터로, 지금까지 람보르기니가 만든 12기통 엔진 중 가장 가볍고 강력한 엔진이다. 엔진의 무게는 218kg으로, 아벤타도르의 엔진보다 17kg 가벼워졌다.

LB744의 신형 V12 엔진의 레이아웃은 기존 아벤타도르 대비 180도 회전된 형태이며, 슈퍼콰드로 V12 엔진의 최고출력 825마력은 9,250 rpm에서 발휘된다. 분배시스템의 개선으로 최고 엔진회전수 역시 9,500 rpm까지 올라갔다. 리터 당 출력은 128CV/L로 람보르기니 12기통 엔진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다. 최대토크는 6,750rpm에서 725 Nm에 달한다.

실린더에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 인테이크 덕트를 개조해 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늘리면서 연소실 내 공기흐름은 최적화시켰으며, 동시에 아벤타도르에 도입되어 검증된 바 있는 연소실 내 이온화 조절 기능을 통해 연소 과정 역시 최적화시켰다. 새로운 연소 시스템 덕분에 LB744의 압축비는 12.6:1로, 아벤타도르 울티매(11.8:1) 대비 높은 효율성을 자랑한다. 배기 시스템의 유체역학 개선을 통해 고회전에서의 역압을 줄여 출력 손실을 막았다.

람보르기니 고유의 엔진음은 더욱 매력적으로 다듬어졌다. 시동을 거는 순간 누구나 알 수 있는 람보르기니 특유의 감성적인 사운드는 더욱 풍성해졌으며, 낮은 RPM에서도 귀를 즐겁게 만들고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자연흡기 고유의 자연스러운 크레센도 사운드가 만들어진다.

전동화 시대를 위한 새로운 사륜구동 시스템

LB744는 람보르기니의 핵심 전통 중 하나인 사륜구동 시스템을 계승한다. V12 엔진은 후륜으로 동력을 공급하며, 2개의 전기모터가 각각의 전륜에 동력을 공급한다. 8단 더블 클러치 기어박스와 통합된 3번째 전기모터는 드라이빙 모드 선택 및 상황에 따라 후륜으로 추가적인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V12 엔진과 3개의 전기모터가 만들어내는 토크는 슈퍼 스포츠카 내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의 강력함을 자랑한다. 엔진에서 725 Nm, 전륜을 담당하는 2개의 전기모터가 각각 350 Nm의 토크를 만들어내면서 최대 1,105마력의 출력과 결합된다.

전륜을 담당하는 2개의 전기모터는 18.5kg에서 110kW을 출력을 뽑아낼 정도로 뛰어난 출력대비무게비를 자랑하며, 전륜에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뿐 아니라 토크 벡터링 기능까지 담당해 드라이빙 다이내믹스를 최적화시켜준다. 전기 모드에서 LB744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륜구동 방식으로 주행하며, 후륜은 필요할 경우에 한해서 활성화된다.

차처럼 빠른 정보, 모토야! www.motoya.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