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 태그의 글 목록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업데이트된 가격과 트림 구성
효율적이고 강력한 성능

출처: 토요타 (2025 프리우스)

하이브리드의 상징이자 토요타의 대표 모델인 프리우스가 2025년형으로 돌아왔다. 이번 모델은 새로운 나이트쉐이드 트림을 추가하며 디자인과 기능에서 진일보했다.

세대를 거듭하며 초창기의 논란 많은 외관에서 벗어나 5세대부터는 현대적이고 세련된 모습으로 탈바꿈한 프리우스는 이제 하이브리드 시장의 중심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2025년형 프리우스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나이트쉐이드 트림의 추가다. 이 트림은 XLE를 기반으로 하며, 블랙 컬러로 통일된 외장 요소로 독특함을 더했다.

19인치 블랙 휠, 검은색 배지, 그릴과 사이드미러를 포함한 외장 디테일이 특징이다.

출처: 토요타 (2025 프리우스)

특히 ‘카라시 옐로(Karashi Yellow)’라는 독점 색상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일본 겨자에서 영감을 받은 강렬한 색감으로 차량의 존재감을 극대화한다.

그 외에도 ‘미드나잇 블랙(Midnight Black)’과 ‘윈드 칠 화이트(Wind Chill White)’ 색상이 제공된다. 내부에는 블랙 인조 가죽 시트와 그레이 스티칭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2025년형 프리우스는 LE, XLE, 나이트쉐이드, Limited의 네 가지 트림으로 제공된다.

기본 트림인 LE는 29,485달러(약 4,303만 원)부터 시작하며, XLE는 32,930달러(약 4,811만 원), 나이트쉐이드는 33,630달러(약 4,907만 원), 최상위 트림인 Limited는 36,500달러(약 5,334만 원)로 책정되었다.

출처: 토요타 (2025 프리우스)

이 가격에는 1,135달러(약 166만 원)의 목적지 비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든 트림에서 AWD 옵션을 추가하려면 1,400달러(약 205만 원)가 추가된다.

2025년형 프리우스는 2.0리터 4기통 엔진과 두 개의 전기 모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륜구동(FWD) 모델은 194마력을, 상시 사륜구동(AWD) 모델은 196마력을 발휘하며, 모두 연속 가변 자동 변속기(CVT)가 적용된다.

연비는 트림과 구동 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기본 트림인 LE FWD는 도시/고속도로/복합 기준으로 약 24.2km/L의 연비를 기록하며, AWD 모델은 약 23.0km/L이다.

출처: 토요타 (2025 프리우스)

XLE, 나이트쉐이드, Limited의 경우, FWD는 약 22.1km/L, AWD는 약 20.8km/L의 연비를 제공한다.

모든 트림에는 토요타의 최신 안전 기술인 Safety Sense 3.0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전방 충돌 경고, 보행자 감지 기능이 포함된 자동 비상 제동,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등으로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기본 트림 LE는 17인치 휠, LED 헤드램프, 열선 사이드미러 등을 갖추었으며, XLE부터는 19인치 휠, 인조 가죽 시트, 열선 스티어링 휠 및 무선 충전 기능이 추가된다.

나이트쉐이드는 XLE 사양에 블랙 테마를 더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최상위 트림 Limited는 고정형 파노라마 루프, 파워 리프트게이트, 12.3인치 터치스크린, JBL 오디오 시스템 등 프리미엄 옵션이 탑재된다.

출처: 토요타 (2025 프리우스)

스마트폰을 차량 키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키와 360도 카메라 시스템은 Limited에서만 선택 가능하다.

2025년형 프리우스는 곧 전 세계에 판매될 예정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프리우스 프라임의 세부 정보는 추후 공개될 계획이다.

프리우스는 세련된 디자인, 뛰어난 효율성, 그리고 더욱 다양해진 트림 선택을 앞세워 다시 한번 하이브리드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질 준비를 마쳤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자동차가 2025년 1월 7일, 크라운 컨버터블 프로토타입을 최초로 공개했다. 크라운은 1955년 일본 내 최초의 양산 승용차로 탄생했다. 현재의 16 세대 크라운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컨셉으로 세계시장을 위해 개발됐다. 컨버터블은 크라운 크로스오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특수 코팅된 무광택 페인트 외에도 인테리어도 색상과 질감을 고집하고 콘솔 덮개와 도어 암레스트는 블랙 래스터를 사용했다. 신작 블랙 나뭇결 패널 외에도 스티어링 휠과 변속 노브에 딤플을 배치하고, 특별한 것의 상징인 가죽 프린트는 세련되고 고급감이 있는 공간을 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시일은 2025년 봄 전후로 예고되어 있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 그랜드 하이랜더 가격 인하
새 트림 추가로 선택지 확대
넓은 공간과 강력한 성능 겸비

그랜드 하이랜더 2025 / 출처: 토요타

토요타가 미국 시장에서 2025년형 그랜드 하이랜더와 그랜드 하이랜더 하이브리드의 가격을 인하하고 새로운 트림을 추가해 주목을 받고 있다.

토요타의 준대형 SUV인 하이랜더의 확장형 모델인 그랜드 하이랜더는 넓은 실내 공간과 뛰어난 성능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 팰리세이드와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기본 LE 트림 5천만 원대부터 시작

이번에 추가된 LE 트림은 가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기본 모델로, 42,310달러(약 5,825만 원)부터 시작한다. 이는 기존 2024년형 기본 모델보다 2,460달러(약 338만 원) 저렴해진 가격이다.

하이브리드 모델 역시 가격이 내려가 2024년형보다 870달러(약 120만 원) 낮은 45,660달러(약 6,287만 원)부터 시작해 보다 경제적인 선택지가 돼 주목을 받고 있다.

그랜드 하이랜더 2025 / 출처: 토요타

LE 트림에는 기본 2.4리터 터보 4기통 엔진이 탑재되며, 전륜구동과 4륜구동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맥스(non-Max)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적용이 가능해 LE 하이브리드를 선택할 경우 가격이 45,660달러(약 6,287만 원)로 올라간다. 기존 XLE 트림은 소폭 가격이 인상돼 45,080달러(약 6,206만 원)부터 시작한다.

또한 GH 하이브리드의 리미티드 모델을 기반으로 한 ‘나이트쉐이드’ 트림을 새롭게 추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54,060달러(약 7,439만 원)에 출시되는 나이트쉐이드 트림은 2.5리터 4기통 엔진과 두 개의 전기 모터로 구성되어 총 245마력의 출력을 내며, 4륜구동이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그랜드 하이랜더 2025 / 출처: 토요타

나이트쉐이드는 외관에 검은색 악센트를 더해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자랑하며, 실내는 리미티드 모델과 동일한 편의 사양에 JBL 오디오 시스템(11개 스피커 포함)이 추가되어 더욱 풍성한 음향 경험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맥스, 최대 362마력 발휘

하이브리드 맥스 모델은 고성능을 추구하는 소비자를 위해 리미티드와 플래티넘 트림에서 다시 한번 선보인다.

이 모델들은 2.4리터 터보 4기통 엔진과 전기 모터의 조합으로, 총 362마력과 400lb-ft(약 54.3kg·m)의 최대 토크를 발휘한다.

각각 56,140달러(약 7,728만 원)와 60,225달러(약 8,290만 원)부터 시작해, 성능과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소비자들에게 강력한 옵션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랜드 하이랜더 2025 / 출처: 토요타

새로운 외장 색상 옵션으로는 ‘시멘트’와 ‘헤비 메탈’이 추가되었으며, LE를 제외한 모든 캡틴 체어 트림에는 2열 콘솔이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플래티넘 트림은 연말 직전에 출시될 예정이며, LE 모델은 2025년 상반기 출시가 예상된다.

2025년형 그랜드 하이랜더 라인업은 다양한 트림과 옵션, 강화된 가격 경쟁력으로 가족 단위 소비자들에게 실용적이면서도 스타일리시한 SUV 선택지를 제공한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프로토타입 / 사진 출처 = 'Car and Driver'

토요타 4러너(4Runner)는 올해로 출시 40주년을 맞은 중형 SUV다. 1984년 등장해 네 번의 세대 변경을 거쳤으며, 현행 4러너는 2009년 등장한 5세대 모델이다. 상당히 긴 세대교체 주기와 별개로 북미 시장에서 엄청난 인기를 자랑한다. 지난 2014년부터 미국 판매량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2021년에는 14만 4,469대로 정점을 찍었다.

작년에는 10만 9,9951대를 기록해 전성기 때보다는 대폭 줄었지만 출시 첫해보다 많이 팔렸다. 이는 완성차 업계에서 상당히 드문 일로 여겨진다. 이제 조금 있으면 6세대 신차가 모습을 드러낸다. 토요타는 해당 신차의 후면부 티저를 공개했을 뿐이지만 벌써부터 반응이 뜨겁다. 상상조차 못한 옵션이 적용됐다는데, 과연 어떤 사양일까?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티저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티저

테일게이트 창문 개폐
파워윈도우 적용됐다

토요타는 신형 4러너의 두 번째 티저를 4일(미국 시각) 공개했다. 지난달 29일 공개한 첫 번째 티저와 마찬가지로 후면부를 비추지만 놀라운 변화를 몇 가지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테일게이트 창문이 여닫히는 모습이 눈길을 끈다. 일반적인 파워윈도우처럼 테일게이트 내부로 오르내리며, 오버헤드 콘솔에 달린 버튼으로 조작하게 된다.

SUV나 왜건 등 해치백 형태의 차종에 테일게이트 창문 개폐 기능이 적용되는 경우는 흔하게 있어왔다. 테일게이트 전체를 열기에 협소한 공간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작은 물건을 꺼내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하기 위함이다. 대부분 테일게이트처럼 경첩을 주축으로 여닫히는 방식인데, 창문이 테일게이트로 숨는 방식은 신형 4러너가 최초다.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실내 예상도 / 사진 출처 = 'Autoya'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실내 예상도 / 사진 출처 = 'Autoya'

거대한 센터 스크린 눈길
투박한 실내 유지할 듯

한편 뒷유리 너머 보이는 실내 일부 모습에서도 힌트를 얻을 수 있다. 1열 시트는 기존의 투박한 디자인에서 스포티한 모습으로 변경된다. 시트 백 어깨 받침이 헤드레스트 양쪽을 일부 가리는 모습이 세미 버킷 시트를 연상시킨다. 가로형 센터 디스플레이는 멀리서 봐도 거대한 크기가 두드러진다. 외신 카앤드라이버(Car and Driver)는 신형 4러너에 14인치 센터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앞서 공개된 실내 예상 렌더링도 눈길을 끈다. 티저 이미지에서 드러난 실내 변화가 반영됨과 동시에 4러너 특유의 투박한 이미지를 살렸다. 북미 취향에 맞춘 정통 SUV답게 큼지막한 물리 버튼과 각진 디테일이 돋보인다. 보수적인 디자인을 고수하면서도 현대적 감성을 한 스푼 얹는 정도의 변화가 기대된다.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프로토타입 / 사진 출처 = '4Runner6G'

토요타 4러너 풀체인지 예상도 / 사진 출처 = '4Runner6G'

예상 파워트레인 스펙
고성능 트림도 나온다

한편 신형 4러너는 토요타 모듈식 플랫폼 'TNGA-F'를 기반으로 한다. 랜드크루저, 타코마, 세콰이어 등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다른 SUV 라인업도 같은 플랫폼을 공유한다. 파워트레인은 신형 타코마와 같은 2.4L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이 탑재되며, 280마력의 최고 출력과 43.7kgf.m의 최대 토크가 예상된다.

같은 엔진에 전기 모터를 더해 합산 326마력을 내는 'i-포스 맥스' 옵션도 마련된다. 신형 4러너는 기본 트림인 SR5부터 시작해 럭셔리 리미티드, 오프로드 최적화 튜닝 사양 TRD 프로 등 다양한 사양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토요타는 이번 신차를 미국 기준 9일에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90년대 토요타를 상징하는 스포츠카 중 하나 수프라(SUPRA). 닛산의 스카이라인 GT-R, 혼다가 NSX로 주가를 높였다면 수프라는 내구성과 탄탄한 차체로 최고의 안정감을 주는 것이 매력이었다. 특히 300km/h 이상을 달리는 최고속도 튜닝카로 이용될 때가 많았다.

새로운 수프라는 BMW와의 협업을 통해 만들어졌는데, Z4의 뼈대와 파워트레인을 기초로 했다. 그 때문에 초기 등장한 수프라에는 BMW가 만든 340마력 엔진이 이식됐다. 그러다 BMW M40i시리즈에 쓰이던 380마력급 엔진이 장착되기 시작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의 수프라는 BMW Z4보다 더 역동적인 스포츠 쿠페의 매력을 발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CJ 슈퍼레이스의 세이프카로 활동하며 팬들을 양성하기도 했다. 

그런데 수프라의 변신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이제 300마력대 후반의 B58엔진을 벗어나 BMW M의 상징이 되는 S58엔진을 얹은 고성능 버전까지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

토요타는 이미 자사의 고성능 브랜드 GR의 일부 모델에 GRMN이란 명칭을 부여했다. 이는 'Gazoo Racing Meister of Nurburgring'의 약자다. 단순한 고성능을 넘어 다양한 스포츠카들이 경쟁하는 독일 뉘르부르크링을 직접 겨냥한다는 의미다.

그리고 고출력 수프라에는 이 GRMN이란 레터링이 붙는다.

고출력으로 거듭날 수프라 GRMN은 이미 뉘르부르크링 서킷을 달리며 셋업을 완성하는 단계에 와있다. 해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스파이샷이 공유되고 있는데, 기존과 달리 윙렛과 리어 스포일러를 통해 보다 공격적인 이미지를 담아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기 흐름을 통해 차체를 안정적으로 지면에 붙이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엔진, 토요타는 어떤 선택을 것인가?

BMW가 만든 S58엔진은 400마력대 중반을 기초로 이제 550마력까지 출력을 높인 상태다. 550마력 엔진은 M4 CSL, M3 CS에 탑재되고 있는데, 토크는 510마력 사양과 동일한 66.3kgf·m 수준이지만 출력을 40마력 가량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덕분에 신형(G82) BMW M4 등은 지금까지의 M4(M3) 가운데 가장 빠른 서킷 기록을 내고 있다.

다만 이 엔진이 그대로 이식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BMW는 이와 같은 고출력 소화를 위해 4륜구동 시스템 xDrive를 달았는데, 수프라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Z4에는 4륜구동이 없다. Z4나 수프라의 차체 크기만 봐도 후륜구동 기반의 4륜 시스템 탑재는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BMW 입장에서도 M의 상징이 되는 최고성능 엔진을 그냥 내주기도 아까울 것이다. 그래서 시장은 최대 460마력, M2에 쓰인 S58 엔진 탑재를 유력하게 전망한다. 변속기는 수동 6단과 8단 자동 가능성이 높지만 상황에 따라 수동 버전이 삭제될 수도 있다. 다만 현재까지 소식에 따르면 6단 수동은 유지될 전망.

높아지는 출력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형 브레이크 시스템과 강력한 타이어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 예상하는 타이어는 미쉐린의 파일럿 스포츠 4S 또는 피렐리의 P ZERO지만 자국 기업인 브리지스톤의 포텐자 스포트(Potenza Spott)를 OE타이어로 쓸 가능성도 있다.

현대차는 아반떼N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내연 기관 고성능 지향 모델을 만들지 않는다. 가장 높은 출력을 가진 모델도 300마력 수준의 쏘나타 N라인이다. 현대차는 이후 전기차에서 고성능화를 꿈꾸고 있다. 반면 토요타는 슈퍼카 LF A를 역사에 두고 여전히 GR브랜드를 통해 내연기관 고성능차로의 도전을 이어가는 중이다. 정답은 알 수 없지만 두 브랜드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고성능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재미있다.

오토뷰 | 김기태 PD (kitaepd@autoview.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