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자동차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차량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활용
단순한 창문 아니다

출처: 콘티넨탈

글로벌 자동차 기술 선두주자인 콘티넨탈이 CES 2025에서 새로운 차량 디스플레이 기술, ‘윈도우 프로젝션’ 솔루션을 최초로 공개하며 모빌리티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윈도우 프로젝션’ 솔루션은 고성능 미니 프로젝터, 전기적으로 어두워지는 측면 유리창,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기술이다.

차량 주차 중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전기차 충전 상태, 사용자 선호 스포츠 팀의 로고 같은 개인화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유리창은 완전히 어두워져 최적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한다.

출처: 콘티넨탈

차량 내부 루프 라이닝에 설치된 공간 절약형 프로젝션 유닛은 단 0.5리터의 공간만 차지하며, 선명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측면 유리에 직접 투사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도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솔루션의 핵심은 AI 기반 소프트웨어인 ‘e트래블 컴패니언’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운전자의 습관, 주행 경로, 기상 데이터, 차량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경기장으로 이동 중일 경우 선호하는 팀의 로고를 측면 유리에 표시하거나, 전기차 충전 상태와 경로 정보를 안내해 가까운 충전소를 미리 추천할 수 있다.

‘윈도우 프로젝션’ 기술은 모빌리티의 디지털화가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되는 사례다. 디스플레이는 이제 단순히 내부 승객을 위한 도구를 넘어 외부와의 소통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출처: 콘티넨탈

예컨대, 차량이 승객을 픽업할 경우 유리에 이름을 표시하거나,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특정 목적지 정보를 표시하는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콘티넨탈은 이번 CES 2025에서 해당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도로부터 클라우드까지 아우르는 최신 기술을 소개하며, 미래 모빌리티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콘티넨탈의 윈도우 프로젝션 솔루션은 차량 디자인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과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번 기술 공개는 자동차 기술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이 콘텐츠는 뉴스레터 차랄라에서 발췌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주차난, 정말 심각합니다.

자동차 대수는 점점 늘어나는데 주차할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죠. 그런데 드디어 이 주차난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우리나라에 설치됩니다. 바로 주차 로봇과 Ai를 활용한 주차장인데요.

올해부터 이 두 가지가 새로 도입된다고 합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 함께 알아볼게요!

무인 주차 로봇

사진=SBS NEWS

무인 주차 로봇은 AI와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자율주행 로봇으로 기계식 주차시설이 아닌 평지(자주식 주차장)에서도 로봇 스스로 최적의 입출고 경로를 탐색해 무인 주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인데요.

차량 탑승자가 차를 두고 내리면, 납작한 사각형 형태의 AI 주차 로봇 2대가 차량 아래로 들어가 각각 앞바퀴와 뒷바퀴를 들어올려 로봇 몸체 위에 싣습니다. 그리고 차량을 들어 앞뒤, 좌우, 각도에 알맞게 회전까지하며 AI를 활용해 최적·최단 경로를 탐색해 빈 공간에 차를 안전하게 주차합니다. 그리고 주차를 완료하면 다시 바퀴를 내려 로봇이 그대로 빠져나와요. 같은 원리를 활용해 주차된 차량을 입구로 이동시킬 수도 있습니다.

사진=로봇신문

빠르면 올해부터 마트나 백화점에 키오스크를 활용해 주차/출차 할 수 있도록 설치될 예정이라고 해요. 무인 주차 로봇은 이미 중국에서는 몇 년 전부터 상용화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만들어서 우리나라 주차장 크기와 구조에 맞게 설치되는 건 처음이래요.

그리고 우리나라 기계식 주차장 설치 비용이 생각보다 엄청 비싼데, 주차 로봇은 이미 만들어진 주차장에 로봇만 배치하면 바로 활용이 가능해서 기계식 주차장에 비하면 가성비가 좋다고 합니다.
차주들도 이 무인 주차 로봇 도입 소식에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요!

Ai 활용 주차장

사진=연합뉴스TV

최근 Ai를 활용한 주차장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인천 부평구가 도심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주차장 첫 선을 보였는데요.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입구가 열리는데, 이때 운전자는 차에서 내려 버튼 하나만 누르면 주차 끝입니다. 기계를 통해 지하로 내려간 차는 360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주차 자리까지 옮겨지게 돼요.

여러 대의 주차 로봇이 동시 다발적으로 최대 2.3톤 무게의 차량까지 자유롭게 운반이 가능하며, 기존 공간에 최대한 많은 차를 주차하기 위해 바닥에 QR 코드 지도를 활용한 정밀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출차 시에도 키오스크로 버튼만 누르고 정산하면 자동으로 지상까지 차량이 나오기 때문에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3분 남짓이라고 해요.

사진=연합뉴스TV  

기계식 주차장은 건물 설계 단계부터 주차장을 수직으로 만들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주차장을 기계식으로 바꿀 수 가 없지만, Ai 주차장은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해서 기존의 주차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3월부터는 연중무휴로 주차장을 운영하고, 이후 설치지역 및 장소를 차차 확대하며 본격적인 운영에 나설 계획이라고 합니다. 하루 빨리 지역이 확대되어 주차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자동차는 신차 구입 즉시 가치가 떨어진다는 말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신차는 노후화되고 사용됨에 따라 꾸준히 가치가 떨어진다. 

이에 외신 ‘아이씨카(iSeeCars)’는 최근 자동차 판매 통계를 분석, 구매 5년 뒤 가장 많이 감가상각이 진행된 10대의 차를 선정했다. 

대부분 고급차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는데, 거의 신차 가격의 절반까지 떨어진 모델도 있었다. 특히 BMW와 마세라티 모델이 각각 3개나 포함돼, 중고차 시장에서 인기가 없다는 것을 입증했다.

1.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 감가상각률 64.5%

2. BMW 7시리즈 : 61.8%

3. 마세라티 기블리 : 61.3%

4. BMW 5시리즈 하이브리드 : 58.8%

5.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ESV : 58.5%

6. BMW X5 : 58.2%

7. 인피니티 QX80 : 58.1%

8. 마세라티 르반떼 : 57.8%

9. 재규어 XF : 57.6%

10. 아우디 A7 : 57.2%

가장 느리게 감가상각 되는 차량 리스트에는 스포츠카, 하이브리드, 트럭이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가장 빠르게 감가상각 되는 상위 10개 모델에는 럭셔리 브랜드가 모두 포함됐다. 

이번 연구에 포함된 모든 차량의 5년 평균 감가상각률은 38.8%였다. 이는 2019년에 비해 약 11% 개선된 수치지만, 일부 차종은 다른 차종보다 가치가 더 크게 하락했다. 전기차는 5년간 평균 49.1%의 감가상각이 발생했고, SUV는 41.2% 하락했다. 트럭은 34.8%, 하이브리드는 37.4% 하락하는 데 그쳤다.

아이씨카의 수석 분석가 칼 브라우어(Karl Brauer)는 “모든 차량이 5년 전보다 감가상각 속도가 느려졌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차후에 차량을 중고로 판매할 때 감가상각이 느린 차를 원한다면 전기차는 최선의 선택지가 아니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반대로 이번 연구 결과 중고 전기차를 구매하는 것은 신차에 비해 큰돈을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아직 충전이나 화재 등 몇 가지 우려되는 요소도 있지만, 전기차를 구매하려면 감가상각이 많이 된 중고차를 찾는 것도 좋다는 것이다.

위의 목록에서 알 수 있듯이 중고 럭셔리카에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 신차를 구매하는 고급차 소비자는 차량을 소유하는 동안 큰 감가상각이 예상되지만, 중고차 시장에는 저렴한 고급 중고차를 고를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수리비와 유지비가 든다는 점은 고급 중고차를 구입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현실적인 문제다.

박도훈 기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현대모비스가 올 3분기 매출 14조2302억원, 영업이익 6902억원을 거뒀다고 27일 공시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0%, 19.8%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99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3% 늘었다.

사업 부문별로는 모듈ㆍ핵심부품 부문이 11조4571억원 매출을 거두며, 전년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동화 부문은 매출이 9.3% 늘어난 2조7236억원을 기록했다. 전동화 부품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9조7941원으로, 작년 연간 매출액(9조6759억원)을 3분기 만에 앞질렀다. AS 사업도 글로벌 수요 강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2.7% 증가한 2조773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올해 3분기까지 핵심부품을 85억7000만달러(약 11조6000억원) 수주했다. 올해 초 공격적으로 세웠던 목표 금액(53억6000만달러)을 초과 달성한 수치다. 계약 관례상 구체적인 규모는 밝히지 않았지만, 지난 8월 폭스바겐으로부터 수조원대의 배터리 시스템을 수주하기도 했다. 현대모비스는 폭스바겐을 비롯해 메르세데스-벤츠,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그룹사 외 제조사 수주 비중을 계속 늘리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완성차 핵심부품 공급 증가와 전동화 물량 확대, 제품믹스 개선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며 "연구개발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물류비 정상화와 AS(애프터서비스) 사업 호조, 지역별 판매가격 현실화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초 공개한 '2023 주주가치 제고 정책' 일환으로 지난달까지 총 15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을 완료했다. 매입분은 전량 소각한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자동차 산업 분석과 시장 동향을 전달하는 사이트 카 인더스트리 애널리시스(Car Industry Analysis, https://fiatgroupworld.com/)에서 전 세계 152개국 시장의 2022년도 자동차 판매량을 공개했다. 이들이 조사한 지역은 유라시아 전반은 물론,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지역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들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도 글로벌 신차 판매량은 전년대비 2% 감소한 7,940만 대로 집계되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시장인 중국, 북미, 유럽 시장의 수요 부진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들 3개 시장은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의 69%를 차지하는데, 지난 해에는 공급망 문제와 반도체 부족 사태 등으로 인해 신차의 생산이 지연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무역제재로 인해 러시아 시장의 자동차 판매량은 반절 이하로 떨어졌다고 한다.

반면 인도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인도-태평양 지역의 판매량은 오히려 신장세를 보였으며, 인도 시장은 24%나 증가한 437만대로 신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이는 전년 대비 851,000대 더 많은 자동차가 판매된 것으로, 일본을 제치고 가장 큰 시장 중 하나로 우뚝 섰다. 이 외에도 중남미 시장의 회복세와 아프리카 등 신흥국 시장에서의 호조로 선진국 시장에서의 부진이 다소 상쇄되는 현상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중국 시장까지 포함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 TOP 5를 모았다.

5위 토요타 캠리
5위는 총 673,300대를 판매한 토요타의 전륜구동 중형세단 캠리(Camry)다. 토요타 캠리는 글로벌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우수한 제작 품질과 신뢰성, 다양한 편의장치 및 안정적인 주행성능과 승차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사랑받고 있는 모델이다. 특히 현행의 토요타 캠리(XV70)는 토요타의 글로벌 아키텍처(Global Architecture) 기반으로 설계된 첫 번째 중형세단으로, 기존 대비 크게 향상된 주행성능과 개선된 승차감, 한층 진화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갖추고 있다. 이 차량은 현재 국내 시장에서도 한국토요타자동차를 통해 판매가 되고 있는 모델로, 현재는 하이브리드 사양만 판매되고 있다. VAT 포함 차량 기본 가격은 3,857~4,455만원.

4위 혼다 CR-V 
4위는 총 733,300대(중국 시장용 브리즈(Breeze) 포함)를 판매한 혼다의 CR-V에게 돌아갔다. 혼다 CR-V는 탄탄한 기본기와 우수한 공간 활용성, 압도적인 안전성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월드 베스트셀링 SUV이다. 혼다 CR-V는 최근 대대적인 풀 체인지 모델이 등장한 바 있으며, 역대 CR-V 중 가장 과감한 스타일 변화와 더불어 경쟁력 높은 파워트레인과 이전 대비 더욱 강화된 편의사양을 갖춰 높은 상품성을 지닌다. 또한 혼다는 이 차량을 기반으로 수소차 클레러티 퓨얼셀의 뒤를 이을 후속 모델을 개발 중에 있다. 국내 시장에는 현재 혼다코리아를 통해 터보 버전 단일 트림으로 만나 볼 수 있다. VAT 포함 차량 기본 가격은 4,190만원.

3위 테슬라 모델 Y
3위는 테슬라의 전기 SUV 모델인 모델 Y에게 돌아갔다. 테슬라 모델 Y는 전세계에서 747,500대가 판매되어 혼다 CR-V를 14,200대 차이를 따돌렸다. 테슬라 모델 Y는 모델 X 이후에 출시된 테슬라의 새로운 중형급 SUV형 전기차 모델로, 2020년도부터 생산을 시작해 전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모델이다. 특히 모델 Y의 롱 레인지 버전은 한 번 충전으로 EPA 기준 482km에 달하는 최대주행거리를 갖는다는 점이 최대 세일즈 포인트로 작용하고 있다. 이 차량은 국내에서도 테슬라 코리아를 통해 주문할 수 있다. VAT 포함 차량 기본 가격은 롱레인지 7789만원, 퍼포먼스 8269만원.

2위 토요타 코롤라 
2위는 토요타자동차를 대표하는 준중형 승용차 코롤라(Corolla)다. 토요타 코롤라는 중국 시장용의 레빈(Levin, 세단형)을 포함해 무려 991,600대가 판매되었다. 토요타 코롤라는 1966년 첫 출시 이후 201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 판매 대수 4천만대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팔린 차로 기네스북에도 오른, 명실상부한 '월드 베스트셀링카'다. 올해로 출시 된 지 반세기를 훌쩍 넘어가고 있는 코롤라는 캠리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아키텍처(Global Architecture) 기반으로 설계된 모델이며, 최근에는 고성능 버전인GR 코롤라 또한 공개된 바 있다. 이 모델은 국내 시장에서는 만날 수 없는 차종이다. 

1위 토요타 RAV4
대망의 1위는 토요타의 RAV4다. 토요타 RAV4는 1991년 북미 시장에 등장해 북미는 물론 전세계에 도심형 크로스오버 SUV의 붐을 일으킨 주역이자, 도심형 SUV의 대명사로 통하는 모델이다. 토요타 RAV4는 중국 시장용의 와일드랜더(Wildlander) 포함해 1,015,700대를 팔아 치웠다. 현행의 토요타 RAV4(XA50)는 토요타 캠리, 렉서스 ES 등에 적용되는 글로벌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된 모델이며, 이전 세대 대비 현격히 상승한 기본기는 물론, 더욱 우수한 효율을 자랑하는 파워트레인과 한층 개선된 주행질감을 제공한다. 이 차종은 국내에서도 한국토요타자동차를 통해 만날 수 있으며, 현재는 하이브리드 모델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VAT 포함 차량 기본 가격은 하이브리드 4,059~4,627만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5,570만원.

한편 국내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은 Top 10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현대자동차그룹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주요 차종으로는 아반떼, 투싼 롱휠베이스(내수용 포함), 크레타(ix25) 등이 있으며, 판매량은 아반떼가 371,100대로 19위, 투싼 롱휠베이스가 334,700대 24위, 마지막으로 크레타(ix25)는 306,800대 29위를 기록했다. 기아 차종은 판매량과 순위 모두 현대차 대비 떨어져, 셀토스 294,800대(36위), 스포티지 롱휠베이스(내수용 포함)232,000대(58위), 쏘렌토 215,000대(67위)로 나타났다.

차처럼 빠른 정보, 모토야! www.motoya.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