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음주운전 사고를 내면 운전자의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이 대폭 늘어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음주운전 사고 시 운전자에 대한 구상금액(사고부담금)을 상향하는 내용의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4월 9일(목)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
현재 음주운전 사고가 발생하면 보험회사는 피해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고, 운전자에게 대인피해에 대해 300만 원, 대물피해에 대해 100만 원을 한도로 구상하고 있다.
이 같은 사고부담금은 2015년에 한차례 인상*한 금액이지만, 음주운전을 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 (`04년) 신설 인적피해 200만 원, 물적피해 50만 원 → (`15년) 현행으로 인상
지난 해 ‘윤창호법’ 시행으로 음주운전자에 대한 형사처벌을 강화했으나, 음주운전자의 민사책임도 함께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특히 음주 사고 건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음주 사고 1건당 지급된 대인피해 보험금은 `18년 1,000만 원에서 `19년 1,167만 원으로 16.7% 증가했다. 지난 해 동안 음주사고로 지급된 총 보험금은 2,681억 원에 달한다. 이는 결국 다수의 보험계약자가 부담하고 있는 보험료의 인상으로 이어진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관계 기관 및 전문가들과 함께 음주운전자에 대한 사고부담금을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각계 의견을 수렴해, 음주운전으로 지급되는 건당 평균 지급 보험금 수준인 대인피해 1,000만 원, 대물피해 500만 원을 한도로 구상하도록 하는 내용의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규칙」개정안을 마련했다.
국토교통부 김상석 자동차관리관은 “이번 시행규칙 개정으로 평균적인 수준의 음주사고의 경우에는 대부분 음주운전자가 사고 피해금액 전액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며 “음주운전은 다른 사람의 소중한 생명과 가족을 큰 위험에 빠뜨릴 뿐만 아니라, 운전자 본인과 가족에게도 큰 상처를 남기게 되므로 절대 삼가주실 것을 운전자분들에게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음주운전 사고 시 피해금액을 전액 운전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시행규칙 개정안의 입법예고 기간은 4월 9일부터 5월 18일까지(40일간)이고 관계부처 협의,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7월경에 공포해 10월경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전문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 “정보마당/법령정보/입법예고”에서 볼 수 있으며,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우편, 팩스, 국토부 누리집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 의견제출처: (우)3010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11 정부세종청사 6동 352호,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 자동차운영보험과 / 전화번호: 044-201-4761, 4870, 팩스: 044-201-5587.
글|사진 로드테스트 편집부
깊이 있는 자동차 뉴스, 로드테스트
'자동차관련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사처벌 가중되는 자동차 사고 유형 (0) | 2020.11.13 |
---|---|
운전면허시험, 전면 예약제 실시..매월 1회 토요일 근무 (0) | 2020.10.06 |
나도 갱신기간 연장 대상자일까? 코로나 19로 인한 운전면허 적성검사 및 갱신기간 최대 10개월 연장 (0) | 2020.04.05 |
논란의 민식이법, '안전에 유의한 운전'은 어떤 기준인가요? (0) | 2020.04.02 |
'민식이법' 본격 시행, 반드시 알아야 할 요점 정리 (0) | 2020.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