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닝은 자동차의 모든 부분에 걸쳐 적용할 수 있어 그 방법과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빠르게 달리기 위해 튜닝하는 오너도 있고, 자신만의 음악감상실을 만들기 위해 카오디오를 가정용 오디오보다 더 좋게 꾸미는 매니아도 있다. 이번 호에는 점차 늘고 있는 오디오 튜닝 매니아들을 위해 오디오 튜닝에 완벽함을 더해줄 수 있는 보강 튜닝에 대해 소개한다.
아주 좋은 음향을 내기 위해서는 어떤 크기의 차가 유리할까? 자동차를 달리는 음악감상실로 꾸미려면 실내가 넓은 차가 좋다. 실내공간이 스피커 박스의 울림통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티뷰론과 에쿠스 리무진에 같은 장비와 자재를 써 오디오 튜닝을 하면 당연히 실내가 넓은 에쿠스가 더 좋은 소리를 낸다.
풀시스템은 무게가 70∼100kg 돼
서스펜션 보강 또는 차고 조정해야
오디오 매니아 중 자동차의 차체 보강에는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런 자세는 한쪽으로만 치우친 튜닝이 되어 토탈 밸런스 개념에 어긋난다. 오디오 튜닝의 기본인 헤드 유니트와 스피커 교체는 차에 별다른 하중이나 부하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앰플리파이어(줄여 `앰프`라고 부른다)와 서브우퍼, 이퀄라이저, 크로스오버 등 좀더 다양한 장비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비디오, TV 등을 달게 되면 사정이 다르다.
이런 풀시스템인 경우 70∼100kg 정도의 무게가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세단 스타일 자동차인 경우 트렁크에 모든 장비를 얹기 때문에 더 큰 문제점이 생긴다. 우선 겉모습에서 뒤쪽은 주저앉고 앞은 들린 상태가 된다. 이런 자세는 매우 심한 언더스티어 현상이 일어나게 하고, 심하면 코너링 때 스핀을 일으키기도 한다.
정상적인 휠얼라인먼트 상태의 차라도 트렁크에 많은 장비를 단 후 다시 체크해보면 앞쪽 캠버와 토인은 모두 플러스(+) 방향을 보이고, 뒤쪽은 앞과 정반대 현상을 나타낸다. 이런 상태는 코너링을 불안하게 할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뒤쪽이 주저앉는 상태의 차를 억지로 앞쪽만 수정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이다.
이럴 때는 서스펜션을 보강시켜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양산차에 쓰이는 스프링은 1∼2kg/mm 정도의 스프링 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오디오 시스템으로 70∼100kg 이상의 무게가 더해질 때는 쇼크 업소버뿐만 아니라 스프링까지 필수적으로 세팅해야 하지만 많은 돈이 들어가므로 뒤쪽 스프링만 바꾸어 주는 방법이 좋다
차의 늘어난 하중에 따라 최소 0.5kg/mm 이상, 보편적으로 1∼2kg/mm 정도 더 높은 스프링을 쓰면 된다.
만약 서스펜션 튜닝을 해 어저스트 타입의 쇼크 업소버를 쓴 차라면 스프링을 세팅하기가 더 편하고 차고 높이조정도 쉬워진다. 일반적인 스프링을 쓰는 쇼크 업소버라면 원래의 스프링 안에 들어가는 보조 스프링을 쓰면 된다. 연결 우레탄이나 고무를 사용해 좀더 강화시키는 것도 좋다.
4X4 모델에는 에어쿠션을 쓰는 방법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리어 스프링을 강화시키면 승차감이 나빠진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늘어난 무게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줄이는 데는 이 방법이 아주 효과적이다. 스프링을 바꾸기가 싫다면 어퍼마운트 부분을 수정해도 된다. 기본 승차감에는 변화가 없지만 차고를 조정하는데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어퍼마운트와 차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만들어 넣거나 쇼크 업소버의 스프링 아래쪽 시트 부분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오디오에서 추가된 무게가 70kg이라면 한 사람이 더 탄 정도라고 무시할 수도 있지만 사람이 타서 차체가 주저앉는 것과 트렁크 공간의 짐에 의한 변화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같은 무게라도 자동차의 무게중심에서 가까운 것과 많이 떨어진 것은 주행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좋은 음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음·방진을 하고 노이즈 등을 제거해야 한다. 차의 방청·방음을 위해 일반적으로 언더코팅을 하지만 오디오 튜닝을 위해서라면 도어내부와 천장, 바닥 등 여러 곳에 있는 큰 구멍을 방음·방진재를 써 보강해야 한다. 큰 소리가 날 때 차체의 철판이 떨어 일어나는 여운이 하울링과 잡음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차체를 커다란 스피커 박스로 만들려면 보디의 여러 곳에 있는 이런 구멍을 잘 이용해야 하지만 맹목적으로 전부 막으면 소리가 매우 둔탁해지므로 집에 있는 홈 오디오 스피커 박스처럼 소리가 어느 정도 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방음·방청·방진을 모두 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고 보디 강성을 높여 주기도 한다. 그러나 무게가 늘어나는 단점도 있다
아주 좋은 음향을 내기 위해서는 어떤 크기의 차가 유리할까? 자동차를 달리는 음악감상실로 꾸미려면 실내가 넓은 차가 좋다. 실내공간이 스피커 박스의 울림통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티뷰론과 에쿠스 리무진에 같은 장비와 자재를 써 오디오 튜닝을 하면 당연히 실내가 넓은 에쿠스가 더 좋은 소리를 낸다.
풀시스템은 무게가 70∼100kg 돼
서스펜션 보강 또는 차고 조정해야
오디오 매니아 중 자동차의 차체 보강에는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런 자세는 한쪽으로만 치우친 튜닝이 되어 토탈 밸런스 개념에 어긋난다. 오디오 튜닝의 기본인 헤드 유니트와 스피커 교체는 차에 별다른 하중이나 부하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앰플리파이어(줄여 `앰프`라고 부른다)와 서브우퍼, 이퀄라이저, 크로스오버 등 좀더 다양한 장비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비디오, TV 등을 달게 되면 사정이 다르다.
이런 풀시스템인 경우 70∼100kg 정도의 무게가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세단 스타일 자동차인 경우 트렁크에 모든 장비를 얹기 때문에 더 큰 문제점이 생긴다. 우선 겉모습에서 뒤쪽은 주저앉고 앞은 들린 상태가 된다. 이런 자세는 매우 심한 언더스티어 현상이 일어나게 하고, 심하면 코너링 때 스핀을 일으키기도 한다.
정상적인 휠얼라인먼트 상태의 차라도 트렁크에 많은 장비를 단 후 다시 체크해보면 앞쪽 캠버와 토인은 모두 플러스(+) 방향을 보이고, 뒤쪽은 앞과 정반대 현상을 나타낸다. 이런 상태는 코너링을 불안하게 할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뒤쪽이 주저앉는 상태의 차를 억지로 앞쪽만 수정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이다.
이럴 때는 서스펜션을 보강시켜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양산차에 쓰이는 스프링은 1∼2kg/mm 정도의 스프링 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오디오 시스템으로 70∼100kg 이상의 무게가 더해질 때는 쇼크 업소버뿐만 아니라 스프링까지 필수적으로 세팅해야 하지만 많은 돈이 들어가므로 뒤쪽 스프링만 바꾸어 주는 방법이 좋다
차의 늘어난 하중에 따라 최소 0.5kg/mm 이상, 보편적으로 1∼2kg/mm 정도 더 높은 스프링을 쓰면 된다.
만약 서스펜션 튜닝을 해 어저스트 타입의 쇼크 업소버를 쓴 차라면 스프링을 세팅하기가 더 편하고 차고 높이조정도 쉬워진다. 일반적인 스프링을 쓰는 쇼크 업소버라면 원래의 스프링 안에 들어가는 보조 스프링을 쓰면 된다. 연결 우레탄이나 고무를 사용해 좀더 강화시키는 것도 좋다.
4X4 모델에는 에어쿠션을 쓰는 방법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리어 스프링을 강화시키면 승차감이 나빠진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늘어난 무게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줄이는 데는 이 방법이 아주 효과적이다. 스프링을 바꾸기가 싫다면 어퍼마운트 부분을 수정해도 된다. 기본 승차감에는 변화가 없지만 차고를 조정하는데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어퍼마운트와 차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만들어 넣거나 쇼크 업소버의 스프링 아래쪽 시트 부분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오디오에서 추가된 무게가 70kg이라면 한 사람이 더 탄 정도라고 무시할 수도 있지만 사람이 타서 차체가 주저앉는 것과 트렁크 공간의 짐에 의한 변화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같은 무게라도 자동차의 무게중심에서 가까운 것과 많이 떨어진 것은 주행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좋은 음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음·방진을 하고 노이즈 등을 제거해야 한다. 차의 방청·방음을 위해 일반적으로 언더코팅을 하지만 오디오 튜닝을 위해서라면 도어내부와 천장, 바닥 등 여러 곳에 있는 큰 구멍을 방음·방진재를 써 보강해야 한다. 큰 소리가 날 때 차체의 철판이 떨어 일어나는 여운이 하울링과 잡음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차체를 커다란 스피커 박스로 만들려면 보디의 여러 곳에 있는 이런 구멍을 잘 이용해야 하지만 맹목적으로 전부 막으면 소리가 매우 둔탁해지므로 집에 있는 홈 오디오 스피커 박스처럼 소리가 어느 정도 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방음·방청·방진을 모두 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고 보디 강성을 높여 주기도 한다. 그러나 무게가 늘어나는 단점도 있다
'자동차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튜닝문화가 뿌리내려야 한다 (0) | 2008.01.10 |
---|---|
열과 과급압 조절이 성공 열쇠 - 터보 튜닝 (0) | 2007.12.28 |
남김없이 불사르기 위한 흡기튜닝 (0) | 2007.12.25 |
개성 표현과 사회적 책임의 균형을 잡자 - 튜닝카, 제대로 타는 법 (0) | 2007.12.25 |
프리미엄 사운드로 운전을 보다 즐겁게 - 카오디오 바꿔 달기 (0) | 2007.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