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자동차리콜'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Copyright (c) https://www.motorgraph.com All rights reserved

국토교통부는 현대차와 쌍용차가 판매한 3개 차종 10만4661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됨에 따라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현대차에서 판매한 제네시스 GV80 1만5997대(2019년 11월~2020년 6월 생산)는 경사로 정차 시 연료 쏠림 현상으로 인해 계기판 내 주행가능 거리가 과도하게 높게 표시되는 현상이 발견됐다. 이 경우 운전자가 계기판 주행가능거리 표시대로 주행할 경우 실제 연료는 부족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다.

GV80은 이미 앞서 두 차례 리콜을 진행한 바 있다. 2월에는 ISG 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변속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결함이, 4월에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보조 제어기와 통신장애 발생 시 계기판에 차로변경 보조 기능의 고장 경고문구가 표출되지 않는 결함이 각각 확인됐다.

또한, 4월에는 배터리 방전 가능성, 리어 익스텐션 패널 도장 손상 가능성, 간헐적 후방카메라 영상 출력 오류 가능성, 낮은 경사로 주행 중 제동 시 울컥거림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무상 수리도 진행했다.

© Copyright (c) https://www.motorgraph.com All rights reserved

이어 쌍용차에서 제작·판매한 티볼리 디젤 7만6858대 및 코란도 디젤 1만1806대 등 총 8만8664대(2015년 7월~2020년 6월 생산)는 연료 공급 호스 결함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연료 공급 호스의 내구성 부족으로 호스 내·외면에 균열이 발생하고 연료가 누유되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국토부는 현대차, 기아차, 벤츠, 토요타에서 판매한 일부 차량에서 결함이 발견돼 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사진=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39개 차종 4만496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6일 밝혔다.

현대차에서 제작·판매한 쏘나타(DN8) 등 3개 차종 2만5113대와 기아차에서 제작·판매한 K5(DL3) 3758대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리콜에 들어간다. 원격 주차 시 간헐적으로 제동 제어가 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네시스의 첫번째 SUV인 GV80(JX1) 3247대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리콜한다. 주행 보조 제어기와 통신장애 발생 시 계기판에 차로변경 보조 기능의 고장 경고문구가 표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국토부는 향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문제의 차량은 오는 20일부터 현대차 직영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기아차 서비스센터에서 각각 무상으로 수리(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GLK 220 CDI 4MATIC 등 12개 차종 8163대는 다카타 에어백 리콜을 진행한다. 해당 에어백은 전개 시 인플레이터의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부품의 금속 파편이 운전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문제의 차량은 이날부터 벤츠코리아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한국토요타에서 수입·판매한 렉서스 RX450h 등 23개 차종 4686대는 연료펌프 내 일부 부품(임펠러) 결함으로 리콜한다. 해당 결함으로 연료펌프가 작동되지 않아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수 있다. 문제의 차량은 오는 29일부터 한국토요타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랭글러 오버랜드 4도어

[북미 지사장=데일리카 마틴 박] 신형 램, 지프 등 피아트 크라이슬러의 주력 SUV가 북미에서 36만대 이상 리콜에 들어간다.

피아트 크라이슬러는 8일(현지시간) 픽업트럭 램, 지프 브랜드 모델 등에서 후방 카메라 결함이 발견돼 북미 시장에서 36만5000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리콜 대상은 2019~2020년 생산된 램 픽업과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닷지 두랑고, 그랜드 체로키 지프, 랭글러 지프, 레니게이드 지프 밴과 SUV이다.

2020년형 글래디에이터 지프와 체로키 SUV, 2019년형 닷지 챌린저 머슬카도 포함한다

지프, 레니게이드 4xe 런치 에디션

이들 차량에서는 R모드에서 D모드로 기어변속후에도 후방 카메라 디스플레이 영상이 10초 이상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결함이 드러났다.

리콜 모델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는 8.4인치 또는 12인치 사이즈로 후방 잔상이 남을 경우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해서 사고 리스크를 높일 수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리콜 차량 소유자는 내달 22일부터 무상수리에 들어가며, 받딜러는 리콜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줄 예정이다.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혼다 오디세이

국토교통부가 볼보자동차코리아, 한국지엠,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혼다코리아. 포르쉐코리아, 한불모터스, BMW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총 32개 차종 39,760대에 대해 시정조치(리콜) 한다.

포르쉐 마칸

특히 혼다 오디세이, 포르쉐 마칸, 푸조-시트로엥 등 총 11개 차종에선 엔진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해당 차종을 소유한 소비자들의 주의를 바란다. 이 밖에 리콜 대상 차종과 결함 내용, 리콜 시기는 다음 표를 참고하면 된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린다. 리콜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을 직접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시트로엥 C3 에어크로스

기타 궁금한 사항은 볼보자동차코리아(☎ 1588-1777), 한국지엠 (☎ 080-3000-5000),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080-337-9696), 아우디 폭스바겐코리아(☎ 080-767-0089), 혼다코리아(☎ 080-360-0505), 포르쉐코리아(☎ 02-2055-9110), 한불모터스(☎ 02-3408-1654), 비엠더블유코리아(☎ 080-269-5181)로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홍석준 woody@carlab.co.kr

 

재미있는 자동차 미디어 카랩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J

람보르기니에 근무하는 한 신입사원의 실수로 2020년형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J 쿠페와 아벤타도르 SVJ 로드스터 26대를 미국에서 리콜한다.

지적된 문제는 내부에서 문을 여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람보르기니는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HS)에 제출한 성명에서 “조립 과정에 대해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신규 직원이 내부 도어 손잡이 안에 있는 케이블 핀을 올바르게 연결하지 않았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내부 도어 손잡이는 사전 경고 없이 고장이 날 수 있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차에 탈 때는 마음대로지만 나갈 때는 아닌 상황인 것이다.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J

차에서 내릴 수 없는 문제는 탑승자들을 심각한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외부 손잡이는 내부와 다른 부품을 사용해 탑승은 가능하다고 한다.

람보르기니는 온라인 품질 관리에서 이 문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내부 조사 결과 문제의 원인이 밝혀졌고,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 사이에 제조된 차량에 결함이 있다는 것이 발견됐다. 람보르기니 측은 조립 과정이 수정됐다고 했다.

람보르기니는 잠재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는 차주들을 찾아가 내부 도어 손잡이를 교체할 예정이다. 리콜은 5월 1일부터 시작한다.

한편 람보르기니는 아벤타도르 SVJ 쿠페 900대와 로드스터 800대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두 모델은 모두 770마력, 72kg.m 토크를 내는 V12 엔진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ALA 2.0 액티브 공기역학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코너링 시 다운 포스를 배가한다.  조채완 기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