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하이패스단말기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현재 시판중인 하이패스 단말기는 크게 두종류가 있습니다.
유리창에 붙이는 IR(적외선)방식과 대쉬보드에 붙이는 RF(주파수)방식이 그것입니다.
도로공사와 단말기 제조사들은 모두 방식에 상관없이 차량 전면 중앙에 설치 할 것을 권장 하고 있습니다.
밑에 사진에서 보듯 대다수의 하이패스 단말기 사용자는 이 권장 사항을 따르고 있지요...
하지만 네비게이션의 보급 활성화에 따라 차량중앙부가 각종기기로 인해 지저분하다는 단점이 생기에 됩니다.
그에따라 어딜가든 틀에서 벗어나고픈 사용자들이 있는 법...^^;;
깔끔한 걸 좋아하시는 상당수의 사용자들은 밑의 사진처럼 운전석쪽으로 몰아서 사용하고 계십니다. ㅡㅡ
허나 대부분의 차량이 조수석쪽이 아닌 운전석쪽에 설치하는 이유는 사용 편의성입니다.
단말기에 카드 탈거/삽입, 액정화면을 통한 요금/정보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차로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단말기의 위치가 너무 한쪽으로 치우쳤기에 추후 2개차로 이상의 하이패스 차로 이용시 옆차로의 주파수를 중복수신 하게되는 경우(RF방식)나 적외선 주사 범위를 벗어나 신호인식을 못 할 수 도 있는 오류(IR방식)가 발생 할 여지가 있다는 우려가 생기게 됩니다.
물론 현재의 도로공사 테스트는 위의 모든 경우를 가정하여 철저한 인증 후에 시스템을 구축하였기에 위의 우려사항이 실제로 벌어질 확률은 극히 미비하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도공의 인증을 통과하지도 못하고 있는 업체가 많은 이유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시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다만, 위의 만일의 경우가 내자신에게 벌어진 일이 되었을 때에는 짜증이 나게되는거죠 ㅡ,.ㅡ
그래서 사용자들이 다시 좀 더 맘편하고? 편리한 방법을 생각해낸 것이 룸미러 뒷쪽에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단말기 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있습니다.
룸미러 뒤에 설치하는 방법은 시각적으로 깔끔하기는 하나, 공통으로 해당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말기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단말기가 중앙설치 기준으로 제작되었기에, 룸미러 뒤에 세로방향으로 설치시 액정화면의 위치가 땅이나 하늘방향을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죠.
액정화면은 대부분의 제품이 무용지물이 될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셔 설치하셔야 합니다.
또한 룸미러 뒤의 공간이 넓지 않은 관계로 카드 탈거나 삽입시의 편의성도 유의하셔야 하구요...
이 때 빛을 발하는 것이 현재 RF방식에서 구현되어 있는 음성안내 기능 입니다.
그리고 전면유리 윗쪽에는 대부분 썬팅이 되어 있기에 IR방식의 경우 적외선이 통과하지 못할수 있다는 우려를 강력한 주파수로 말끔히 씻어주죠...
그러나 RF방식의 경우 기능이 많고 통신범위가 넓은 만큼 그것을 뒷받침 하기위한 전원선이 필요하기에 선처리 문제에 있어 나름 대공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IR방식의 경우
선처리 문제가 없기에 설치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전면유리 상단부 썬팅을 유의하여야 한다는 것과, 액정화면 사용불가시 음성안내 부분에 대한 아쉬움이죠...
물론 기본적인 알림음은 나오기에 결제 유무만 확인하시기엔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보시다시피 같은 방식의 단말기 조차도 크기나 디자인 차이, 액정화면의 위치등이 각기 다릅니다.
제가 말씀해드릴수 있는 결론은 원론적이긴 합니다만 운전자의 사용편의성을 가장 먼저 고려하시고, 단말기 방식에 따른 차이점을 인지하신 후에 자신의 취향과 용도, 가격에 맞는 단말기를 구매하시어 자신이 구매한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설치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요렇게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
그외 수납박스에 넣어두었다가 필요시에만 시거잭에 연결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운전석 밑쪽에 설치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이 방법이 통하는 경우는 RF방식의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아무쪼록 모든 상황을 잘 고려하시어 요금할인 최대23% 받고 뻥뻥~ 뚫리는 하이패스로 시간절약, 인내심 절약하시는 하이패스유저가 되시길....^___________^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