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 태그의 글 목록 (4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

[데일리카 안효문 기자] 토요타가 가주 레이싱의 다이내믹 요소를 반영한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를 유럽서 출시한다고 24일(한국시각) 밝혔다.

토요타에 따르면 이번 업데이트로 RAV4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등에 GR 스포츠 패키지를 적용할 수 있다. 해당 패키지는 무광 블랙 컬러의 휠아치와 사이드 트림, 트렁크 가니시 등을 적용했다. 여기에 전면그릴과 안개등 하우징 등에 벌집 모양 패턴 등 신규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신규 19인치 휠은 토요타 최초로 새로운 라인 절단 공정으로 가공했다.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

실내엔 헤드레스트와 바닥 매트, 스티어링 등에 GR로고를 배치했고, 실버 콘트라스트 스티칭과 건메탈 트림으로 역동성을 강조했다. 동물성 소재를 배제한 시트는 스웨이드 방식을 적용했다.

성능도 다소 업그레이드 됐다. 스티어링 성능 개선을 위해 서스펜션 세팅이 조정됐고, 스프링도 단단한 제품으로 교체됐다. 현지언론들은 GR 패키지가 벤츠 AMG 라인이나 BMW M 스포츠보다 더 큰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

업계에서는 유럽 외 지역에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 출시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본다. 한국의 경우 최근 GR 수프라 및 GR 86 등 역동성을 강조한 라인업이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향후 도입 여부도 점쳐진다. 회사의 공식 입장은 ‘미정’이다.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GR 스포츠

yomun@dailycar.co.kr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제네시스, G80 전기차

[데일리카 하영선 기자] 1년 이내의 새차 구입자가 평가한 상품성 만족도에서 국산차는 제네시스, 수입차는 볼보 브랜드가 각각 뽑혔다.

11일 컨슈머인사이트(대표 김진국)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성능, 안전성, 에너지효율, 첨단편의사양 등 11개 항목에 걸쳐 상품성 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산차는 제네시스가 2년 연속, 수입차는 볼보가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제네시스 브랜드의 경우 수입차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해 상품성 측면에서 국산차 브랜드의 시장 경쟁력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산차 브랜드는 제네시스(808점), 기아(804점), 현대자동차(801점), 한국지엠(795점), 쌍용차(774점), 르노코리아(766점) 순으로 집계됐다.

V60 크로스컨트리

현대차그룹 3개 브랜드 중 제네시스는 작년에 이어 선두를 지켰지만 올해 13점 하락하면서 2, 3위와 점수 차이가 7점 이내로 좁혀졌다. 기아는 소폭 상승한 반면, 현대차는 소폭 하락해 순위가 바뀌었다.

제네시스는 11개 항목 중 실내인테리어, 주행성능, 공조장치, 안전성, 시트, 에너지효율·편의, AV시스템, 첨단기능·장치 등 8개 항목에서 국산 1위를 기록했으나 비용대비 가치, 실내공간·수납에서 취약했다.

수입 브랜드는 볼보(864점), 렉서스(858점), 토요타(838점), 메르세데스-벤츠(825점), BMW(818점), 폭스바겐(816점), 아우디(792점) 순으로 나타났다.

볼보는 2018년과 2020~2021년에 이어 통산 4번째이자 3년 연속 1위에 올랐다. 11개 항목 중 안전, 디자인, AV시스템, 첨단기능, 인테리어, 에너지 효율·편의, 비용대비가치의 7개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

7.5 세대 (New ES 300h, New ES 300h F SPORT)

렉서스는 2016년 1위 이후 6년째 2위를 고수하고 있다. 올해도 11개 항목 모두 80점대로 고른 평가를 받았으며 공조장치, 시트 만족도에서 1위였다. 토요타는 올해 큰 폭의 상승세(+48점)를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벤츠, BMW는 대부분 항목에서 80점대의 준수한 평가를 받았지만 비용대비가치와 실내공간·수납 항목에서 70점대에 그쳤다. 폭스바겐, 아우디 역시 동일 분야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두 항목이 독일계의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토요타 뉴 캠리

ysha@dailycar.co.kr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국산차 평균 수입차에 앞서지만 상위권은 열세

렉서스 LS500

[데일리카 안효문 기자] 소비자리서치 전문기업 컨슈머인사이트는 2022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에서 ‘초기품질(TGW-i)’ 부문은 렉서스 및 현대차, ‘내구품질(TGW-d)’ 부문에선 렉서스와 제네시스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초기품질(TGW-i)’ 조사는 2021년 7월~2022년 6월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평균 6개월 동안 사용하면서 경험한 품질상의 문제점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내구품질(TGW-d)’은 신차 구입 후 평균 3년이 지난 소비자(2019년 신차 구입자)가 보유기간 동안 사용하면서 경험한 품질상의 문제점 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평가는 브랜드별로 차 100대 당 문제점 수(PPH)’를 산출해 비교했다. PPH는 숫자가 작을수록 품질 경쟁력이 우수함을 뜻한다.

‘초기품질(TGW-i)’ 부문에선 렉서스가 84 PPH(이하 단위 생략)로 1위, 토요타가 88로 2위를 유지했다. 볼보(115), BMW(117), 폭스바겐(130) 등이 뒤를 이었다. 토요타그룹 2개 브랜드(렉서스·토요타)의 두자릿수 PPH는 대당 문제 발생 건수가 1건도 채 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두 브랜드 외에 두자릿수 PPH를 기록한 곳은 없다.

다만, 초기품질 부문 수입차 평균은 143(작년 대비 -9)로 향상됐지만 1위 렉서스(+11)는 유일하게 후퇴했다. 폭스바겐은 -53으로 대폭 개선되며 오랜만에 순위에 올랐다.

G90

국산차는 현대가 115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쌍용차(123), 르노코리아(128)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135), 제네시스(137), 한국지엠(147)은 평균 아래에 머물렀다. 국산차 평균은 128로 2년 연속 수입차(143)를 앞섰다.

현대차는 7년 연속 1위를 지킨 반면, 제네시스는 작년 2위에서 올해 5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르노코리아의 경우 국산차 중 가장 큰 폭 개선(-35)되며 단숨에 3위로 뛰어 올랐고, 6개월 이내 구입자만을 따질 경우 85로 가장 우수한 초기품질을 보였다.

‘내구품질(TGW-d)’ 부문에서도 수입차 브랜드 중 렉서스(107)와 토요타(128)가 1, 2위를 차지했다. 렉서스는 초기품질, 내구품질모두 PPH가 커지긴 했으나, 렉서스 고객이 신차 구입 후 3년간 경험한 문제점 수는 토요타를 제외한 모든 브랜드 소비자가 1년간 경험한 문제점 수(초기품질)보다도 적을 정도로 압도적이다.

3위엔 볼보(206)가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어서 꽤 큰 점수 차이로 BMW(263), 벤츠(268), 아우디(296) 등이 뒤를 이었다.

국산차 내구품질은 제네시스(221)가 1위를 지켰고 현대차(250)와 한국지엠(257)이 2, 3위였다. 그 뒤로는 기아(289), 쌍용(298), 르노코리아 순(317)이었다.

현대차, 그랜저

제네시스는 올해도 큰 폭(-55)의 개선 효과를 보이며 처음 별도 브랜드로 다뤄진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내구품질 1위를 차지했다. 한국지엠은 -78로 제일 큰 상승폭을 보이며 작년 5위에서 3위로 뛰어올랐다.

내구품질 국산차 평균(271)은 수입차(258)에 비해서는 뒤지지만 올해 큰 폭(-44)으로 개선되면서 수입차를 맹추격하고 있다. 다만, 국산 상위권과 수입 상위권 간 차이는 아직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국산차와 수입차 모두 문제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국산차의 경우 해마다 큰 폭으로 개선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다만 최상위권 브랜드 간에는 여전히 국산차의 열세가 확연한 만큼 세계 최고 수준과는 아직 큰 차이가 있다고 보여진다”라고 설명했다.

yomun@dailycar.co.kr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BMW코리아가 1~3분기 누적 판매 대수에서 메르세데스-벤츠를 앞질렀다. 이같은 추세라면 2015년 이후 7년 만에 벤츠를 누르고 수입차 1위에 오를 전망이다.

5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9월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2만5980대로 작년 동월 대비 19.7% 증가했다. 이는 2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세다. 일부 브랜드에서 물량 적체가 해소됨에 따라 지난달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다.

BMW 5시리즈

지난달 BMW는 7407대를 판매해 수입차 1위를 차지했다. 스테디셀러 5시리즈(1895대)를 바탕으로 X4(767대), X5(662대), X6(511대), X7(494대) 등 SUV 모델이 실적을 보탰다. BMW는 지난 6월 벤츠를 추월한 이후 4개월 연속 월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다. 여기에 1~9월 누적 판매 또한 5만7756대를 기록하며 만년 1위 벤츠(5만6110대)를 추월했다. 7년 만에 왕좌를 되찾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5483대로 뒤를 이었다. E클래스가 1348대로 전년 대비 27.5% 감소한 데 반해, 럭셔리 세그먼트 강자 S클래스(마이바흐 포함)는 757대로 55.7% 성장했다. 이어 GLE 791대, GLC 482대, G클래스 338대 등 SUV 라인업이 실적을 보탰다. 반면, C클래스는 8월 17대에 이어 지난달 24대에 머물렀다. 출시 6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물량 부족에 시달리는 모양새다.

수입 물량이 풀린 테슬라는 브랜드 3위에 올랐다. 모델Y가 1910대로 지난달에 이어 모델별 판매 1위를 차지했고, 모델3는 1223대로 4위를 달성하는 등 누적 3133대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해상 물류 대란으로 선박 입항 시기에 따라 월간 실적이 널뛰고 있다.

이밖에 아우디 1812대, 폭스바겐 1470대, 지프 1025대, 볼보 882대, 렉서스 860대, 미니 745대, 토요타 683대 등이 브랜드 톱10에 올랐다. 8월 깜짝 실적을 거둔 폴스타는 지난달 295대로 13위에 머물렀다.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그래프(http://www.motorgraph.com)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토요타자동차(이하 토요타)의 모터스포츠 부문을 넘어 고성능차 부문까지 전담하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 이하 TGR)이 GR수프라의 연식변경 모델을 발표했다. GR수프라는 연식변경과 함께, 차량의 성능과 상품 구성 등이 일부 조정되었다.

TGR은 이번 GR수프라의 개량에서 섀시의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특히 차량의 하체와 스티어링 시스템 등을 개선함으로써 향상된 조종성능과 승차감을 구현한다.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GR수프라에 적용되어 있는 AVS(Adaptive Variable Suspension, 적응형 가변식 서스펜션)이 있다. 개선된 AVS는 쇽업소버의 감쇠력 및 제어 특성을 더욱 정교하게 조정하여 차량의 롤링을 줄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여기에 스태빌라이저의 부싱을 변경하여 스티어링 조타 시의 초기 응답성을 개선한다. 아울러 AVS, EPS(전동식 파워스티어링), VSC(Vehicle Stability Control, 차체 자세 제어장치) 등의 전자제어 소프트웨어를 재조정하여 조타시의 질감은 물론, 한계영역에서의 제어력을 더욱 높인다.

여기에 새롭게 개발된 단조 19인치 알로이휠이 적용된다. 새로운 단조 19인치 알로이 휠은 최근 출시된 GR86과의 디자인적 통일성을 높인다. 티타늄 다크 실버 컬러로 도장된 신형 알로이 휠은 더욱 경주차다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 뿐만 아니라 기존 알로이 휠 대비 개당 중량을 1.2kg씩 감량하는 것은 물론, 강성도 훨씬 높아 더욱 뛰어난 주행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 구성도 일부 변경된다. 연식변경이 진행된 GR수프라의 상위 트림인 RZ 트림 한정으로 수동변속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GR수프라의 고성능 엔진에 맞춰서 새롭게 개발된 6단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시프트레버 조작과 클러치 조작에 따라 컴퓨터가 최적의 엔진 회전수를 맞춰주는 iMT를 채용하여 보다 정교한 스포츠 주행을 경험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수동변속기 모델 전용의 사운드 제너레이터 설정을 추가하여 더욱 박진감 있는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TGR은 신형 GR수프라에 신규 외장색상 3종과 내장색상 1종을 추가하는 한 편, 더욱 개선된 JBL 사운드 시스템을 적용한다. 일본 내수시장에서는 올 여름부터 사전계약을 진행할 예정이며, 해외 시장에는 유럽 시장을 시작으로 판매를 개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처럼 빠른 정보, 모토야! www.motoya.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