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르노자동차' 카테고리의 글 목록 (34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르노의 Z.E 컨셉트는 미래의 도심형 전기차를 위한 제안이다. 르노-닛산 연합은 이스라엘을 시작으로 소형 전기차를 가장 먼저 준비하고 있는 메이커로 이미 이스라엘과 덴마크, 포르투칼, 일본 카나가와 현, 미국 테네시 주에 공급 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다. Z.E 컨셉트는 배기가스가 전혀 없는 ‘Zero Emission’을 뜻한다.

Z.E 컨셉트는 공간 활용을 중시한 전형적인 박스형 톨보이 타입이다. 베이스 모델은 캉구 비밥으로 전장×전고는 3.95×1.85m의 컴팩트한 사이즈이다. 전장품 사용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막기 위해 보디에는 열을 반사하는 페인팅을 적용했으며 솔라 패널이 내장된 녹색의 글래스 루프는 자외선 차단 처리가 돼있다.

루프의 솔라 패널은 냉난방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주정차 시에도 배터리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주행 중 저장된 솔라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없애기 위해 사이드미러도 저전력 카메라로 대체했다.

동력원은 95마력(23.0kg.m)의 전기 모터와 리튬-이온 배터리가 조합되고 충전 여부는 도어 바깥에 마련된 인티게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 위성 내비게이션은 기존의 방식 대신 삼성이 제공한 F480 휴대폰으로 대체된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신차를 구입한 10만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상품성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르노삼성차 구입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GM대우차 구매자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6일 마케팅인사이트의 제조사별 상품성 만족도에 따르면 르노삼성은 평균 597점(1,000점 만점 기준)을 얻어 가장 높았고, 현대차가 554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쌍용차는 527점으로 3위에 랭크됐고, 기아차와 GM대우차는 각각 498점과 489점에 그쳤다. 반면, 국산차를 제외한 수입차 구매자들의 상품만족도는 667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세부 항목별로는 디자인 측면에서 르노삼성 구입자들의 만족율이 61.5%로 가장 높았고, 57.6%의 만족율을 보인 현대가 뒤를 따랐다. 쌍용차는 53.2%였고, 디자인을 앞세웠던 기아는 구매자들의 디자인 만족도가 51.7%에 그쳐 디자인 기아 명성에 흠집을 남겼다.

주행 성능 면에서도 르노삼성차 구입자들의 만족율이 59.4%로 높았고, 쌍용차 구매자 또한 55.3%가 만족한다고 답해 높은 만족율을 보여줬다. 이에 반해 현대차는 54.5%, 기아차 구입자는 48.9%가 만족하는데 그쳤다.

안락/편의성을 묻는 질문에는 르노삼성차 구입자의 59.4%가 만족한다고 대답했고, 현대차 구매자는 55.9%가 만족을 나타냈다. 쌍용은 51.8%, 기아는 50%, GM대우는 47.7%의 만족율을 보였다.

유용성/활용성 만족도에선 르노삼성이 56.2%로 나타났고, 현대차가 52.5%의 만족율을 기록했다. 쌍용차는 47.8%, GM대우는 47.1%로 조사됐다. 기아차 구매자는 46.4%만이 유용성/활용성 부문에서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밖에 유지비/운영비 등에선 르노삼성이 49.8%의 만족율을 보였고, GM대우차 구매자는 48.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전반적인 완성도와 끝마무리 면에서도 르노삼성 구입자들의 만족율이 62.5%로 상대적으로 다른 브랜드 구입자들의 만족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별 상품성 만족도에선 르노삼성 SM7이 1,000점 만점에 639점을 얻어 만족도가 높은 차종 1위에 올랐고, 기아차 오피러스가 632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르노삼성 SM5는 600점으로 3위, 현대 베라크루즈가 592점으로 4위에 랭크됐다. 5위는 GM대우 윈스톰, 6위는 쌍용 렉스턴II, 7위는 현대 싼타페와 그랜저, 9위는 쌍용 체어맨H, 10위는 현대 i30로 조사됐다.

조사를 진행한 마케팅인사이트는 "르노삼성이 지난해 현대에 1위를 내주었던 자리를 탈환했다"며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의 반응을 분석하면 '디자인'과 '주행성능'이 상품성 만족도를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2007년 7월과 2008년 6월 사이 신차를 구입한 사람 10만명이 대상이었으며, 디자인과 주행성능 등 7개 차원 56개 세부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고, 항목별 중요도와 차원별 중요도를 산출해 차원별 점수(100점)와 최종 상품성 만족도(1,000점)를 도출했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르노삼성은 8월 25일 부산공장에서 걸프지역 국가 기자단을 대상으로 사프란(Safrane, SM5의 수출 모델명) 시승행사를 열고 9월 1일 본격판매에 들어갔다. 사프란은 르노 엠블럼을 달고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등 걸프협력회의(GCC) 소속 6개국으로 수출된다. 7월 29일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450여 대가 선적되었고, 수출 물량은 현지 수요에 맞춰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사프란은 2006년 2월 시작된 SM3(수출명, 알메라/서니)와 올해 3월부터 선적된 QM5(꼴레오스)에 이은 르노삼성자동차의 세 번째 수출전략모델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르노삼성이 미국발 경제위기 및 내수 판매 부진을 유럽 수출을 통해 극복하고 있다.
르노삼성은 지난 10월 내수 및 수출 판매 실적이 전년동월 대비 19.8%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내수 판매는 저조해 7431대로 전년 동월대비 -28.6%에 그친 반면 수출대수는 8864대로 전년 대비 178%를 기록했다. 내수보다 수출 대수가 더 많아진 셈이다.

수출 대수가 늘어난 주요 원인은 소형 SUV 차량 QM5(수출명 르노 꼴레오스)의 판매호조 덕분. 영국,독일,프랑스,스페인 등 유럽 주요국가의 수요가 늘면서 한달에 3811대씩 판매하며 수출을 견인했다.

르노삼성 서규억팀장은 "QM5의 우수한 품질이 유럽에서 인정받고 있다"며 "유럽과 중동등에 판매 비중이 높아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수출 물량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