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쌍용차' 태그의 글 목록 (9 Page)

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자연을 느끼다' 오프로드-캠핑카갤러리 이동

쌍용차 렉스턴 더 뉴 렉스턴 스포츠 칸을 시승했다. 더 뉴 렉스턴 스포츠는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전후면 외관 디자인을 새롭게 변경하고, 트림을 단순화한 것이 특징이다. 레저용 수입산 픽업트럭의 판매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국산 픽업트럭의 경쟁력을 살펴봤다.

쌍용차의 내외부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신형 렉스턴 스포츠가 출시됐다.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는 쌍용차의 이미지 리딩격 모델로 국내 픽업트럭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커다란 차체 대비 저렴하게 느껴지는 가격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국산 중형 SUV의 가격이 4천만원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렉스턴 스포츠는 3천만원 중반 가격에 쓸만한 모델을 구입할 수 있다. 시승한 모델은 3165만원의 칸 프레스티지로 사륜구동 시스템, 다이내믹 패키지, 루프랙 등 640만원의 옵션이 더해진 3805만원으로 구성됐다.

쉐보레가 완제품으로 수입한 콜로라도가 3830만원, 포드 레인저가 4990만원에서 시작해 예전 병행 수입으로 구입할 수 있었던 시절과 달리 국산차와 수입차의 가격 차이가 적어진 것도 사실이다. 치열한 경쟁은 소비자들에게는 항상 더 좋은 선택지를 제공해 환영한다.

시승차에는 쌍용차에서 임의로 장착한 애프터마켓 타이어가 적용됐다. 출고시 옵션으로 제공되지 않는 사양으로 쿠퍼타이어의 디스커버 S/T 265/60R18 제품이다. 트레드 패턴으로 미뤄볼 때 오프로드 주행성능이 강조된 타입으로 타이어 측면부 디자인이 공격적이다.

렉스턴 스포츠 칸은 도심에서 타기에는 덩치가 상당하다. 전장 5405mm, 전폭 1950mm, 전고 1865mm, 휠베이스 3210mm로 어지간한 주차라인의 좌우를 꽉 채우고, 앞쪽 주차라인을 차체가 한참 넘어선다. 복잡한 도심에는 부담스럽지만 덩치에서 오는 만족감이 크다.

이번 부분변경의 핵심은 전면부 외관 디자인이다. 미국의 대형 픽업트럭이 연상되는 대형 그릴과 세로형 LED 안개등이 더해져 디자인 완성도가 높아졌다. 보닛과 펜더의 기존 금형을 유지했지만 분위기가 완전히 다르다. 두툼해진 펜더 역시 차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전면 범퍼 하단에는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을 위한 레이더 반사판이 보이는데 출시 모델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차선유지보조와 함께 적용될 계획이 어떤 이유에서 무산된 것으로 보여진다. 최신 ADAS가 적용을 위해서는 유압식 대신 전자식 스티어링 휠이 적용돼야 한다.

후면부에서는 범퍼 디자인을 바꾸고, 리어램프를 LED 면발광 스타일로 변경했다. 두툼한 플라스틱 마감재를 더한 트렁크 도어는 미국형 픽업트럭 스타일이다. 금형을 바꾸지 않은 변화치고는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디자인 부서의 노력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됐다.

실내 디자인은 A필러에 손잡이를 더한 것 외에 큰 변화는 없다. 블랙 헤드라이닝, 나파가죽시트에 신규 브라운 컬러가 도입되는 변화가 있다. 출시 때부터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호평 받았던 시트는 꽤나 편안하다. 프레임보디 특유의 올라 타는 시트포지션도 그대로다.

시승차는 다이내믹 패키지가 적용돼 전고가 기본형 대비 10mm 높다. 다이내믹 패키지에는 사이드 스텝, 블랙 휠 등 꽤나 알차게 구성돼 있는데, 플로팅 무드 스피커라고 불리는 대시보드 중앙의 스피커는 마감이 조악하다. 실내 도어 손잡이의 마감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파워트레인은 2.2리터 4기통 LET 디젤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 그리고 파트타임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된다. 최고출력 187마력, 최대토크 42.8kgm(at 1600-2600rpm)를 발휘한다. 4WD 기준 공차중량은 2180kg(2WD 2070kg), 복합연비는 10.0km/ℓ(도심 9.1, 고속 11.3)다.

렉스턴 스포츠가 처음 출시된 2018년에는 꽤나 준수한 사양이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6단 자동변속기가 아쉽다. 가격대가 더 높은 SUV 렉스턴에 탑재된 8단 자동변속기는 차별화 포인트이기도 하다. 2000rpm 전후의 실용 엔진 회전에서 최대토크가 나와 가속이 매끄럽다.

실내에서의 정숙성은 예나 지금이나 렉스턴급 차량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다. 소음은 물론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도 거의 없다. 전륜(FF)에 동력을 전달하는 흔한 국산 SUV와 달리 후륜(FR)에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시트나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진동이 없어 쾌적하다.

도심에서의 일상적인 주행은 대형 SUV를 모는 감각이다. 높은 시트포지션로 인한 넓은 전방시야는 승용차 대비 여유를 갖게 한다. 전장과 휠베이스가 스트레치드 리무진과 유사한 점을 고려해 회전시 차량 안쪽으로 파고드는 공간이 크다는 점만 감안하면 무난하다.

고속주행시 안정감은 렉스턴 라인업 차량의 공통된 장점이다. 고속도로에서 어지간히 속도를 높여도 안정감이 유지된다. 다만 고속에서 스티어링이 크게 들어가는 상황에서는 안정성이 쉽게 떨어지며 주행안정장치가 개입한다. 바꾼 타이어로 인해 그립이 더욱 좋지 않다.

양산차에서는 차급에 따른 승차감이 크게 다른데, 차체 크기나 공차중량에서 비롯되는 차이가 적지 않다. 렉스턴 스포츠의 경우 대형 SUV 렉스턴의 섀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우수한 편이다. 노면의 충격이 전달될 경우 1.5톤의 차체와 2톤의 차체는 질감이 다르다.

오프로드에서는 프레임보디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자잘한 요철에서는 모노코크 SUV 대비 좋을 것이 없지만, 큰 요철은 보다 유연하게 소화한다.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에 대한 걱정이 적은 것도 장점, 출고용 타이어를 대신하는 오프로드 타이어의 주파력도 강점이다.

하지만 오프로드 주행시 픽업트럭의 고장에서 만들어진 미국산 픽업트럭의 서스펜션 셋업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한계로 생각된다. 거친 노면을 고속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요철을 소화하는 승차감이나 기대 이상의 휠 트러블을 통한 험로 주행 능력에서는 차이가 있다.

이런 오프로드 주행 성능의 차이는 미국과 한국의 지형적인 차이가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주말 캠핑용으로 구입한다면 기본형 모델에 사륜구동을 더한 3천만원 사양에 300만원대의 커스터마이징 옵션으로 하드탑 아웃도어 패키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쉽고 빠른 자동차 전문 뉴스채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쌍용 더 렉스턴 스포츠 칸

위기에 빠진 쌍용차가 렉스턴 스포츠와 칸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했다. 신차 출시로 판매 부진을 타개하겠다는 전략이다. 신차 판매가 원활하게 이뤄지면 새로운 투자자를 찾는 것이 한결 수월해질 수 있다. 법정관리 위기에 빠진 쌍용차가 재기하기 위해선 신차출시와 강력한 구고조정 이외에 답은 없다.

쌍용차는 지난해 티볼리 에어와 더 뉴 렉스턴을 출시하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디자인을 다듬고 새롭게 선보인 더 뉴 렉스턴은 이전 모델에 비해 세련된 인상이라는 평가다. 올해는 렉스턴 스포츠와 칸의 부분변경을 출시했다. 산뜻한 디자인으로 거듭났다는 좋은 평가가 나온다.

쌍용 더 렉스턴 스포츠

부분변경을 거친 렉스턴 스포츠는 ‘고 터프’라는 디자인 콘셉트를 바탕으로 다듬었다. 전면에는 기존보다 크기를 몇 배나 키운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자리한다. 적재함을 늘린 칸은 정중앙에 ‘KHAN’이라는 레터링을 새겨 넣어 일반 모델과 차별화를 꾀한다. 헤드램프의 구성도 새롭다. 수직으로 나열한 LED 안개등은 새로운 인상을 완성한다. 보다 와일드하고 강인한 이미지를 더했다는 평가다. 측면은 새롭게 적용한 휠하우스와 도어 가니시가 눈에 띈다. 도심보다 험지에 잘 어울리는 디자인 구성이다. 후면 디자인도 새롭게 다듬었다. 리어램프의 디테일을 매만지고 적재함에 새로운 가니시를 덧댔다.

렉스턴 스포츠는 적재함 크기에 따라 일반 모델과 칸으로 나뉜다. 렉스턴 스포츠의 적재함 용량은 1011L이며, 칸은 이보다 넓은 1262L의 적재 용량을 제공한다. 칸의 경우 서스펜션에 따라 500kg 혹은 700kg의 적재물을 실을 수 있다.

쌍용자동차 렉스턴 스포츠 칸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동일한 l4 2.0L 디젤 엔진과 아이신 6단 자동 변속기가 적용된다. 스포츠와 칸의 최고출력은 187마력으로 동일하나 최대토크는 스포츠가 40.8kg.m, 칸이 42.8kg.m로 소폭 차이가 난다. 칸의 적재 용량이 더 크기 때문에 더 높은 토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쌍용은 과거부터 사륜구동을 잘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렉스턴 스포츠와 칸에도 사륜구동 옵션으로 마련했다. 여기에 차동기어잠금장치까지 선택하면 더 높은 등판 능력과 견인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렉스턴 스포츠의 가격은 수동 변속기 기준 2439만원부터다. 여기에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모델은 2609만원부터 손에 쉴 수 있다. 렉스턴 스포츠 칸(자동 변속기)의 가격은 이보다 높은 2856만원부터다.

쌍용자동차 렉스턴 스포츠 칸

한편, 렉스턴 스포츠 부분변경은 법정관리 위기 속에서 출시한 신차라는 의미가 크다. 쌍용차는 지난해 12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원은 회생절차 개시 시점을 P플랜 제출 이후로 유예했다. 유력한 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가 투자 확답을 주지 않자 P플랜 시행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는 구조조정을 포함한 법정관리 회생절차가 시행될 것으로 알려진다.

에디슨 모터스를 비롯한 다수의 업체가 법정관리 이후 쌍용차 인수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인수 이후에 쌍용차가 이익을 낼 수 있는 지의 여부다. 렉스턴 스포츠 부분변경이 잘 팔려야만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하나의 신차 그 이상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다.

남현수 에디터 hs.nam@carguy.kr

카가이 자율주행 연구소 이동의 즐거움 <카가이> www.carguy.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쌍용차 코란도 e-모션 테스트카

쌍용차 최초 순수전기차 '코란도 e-모션'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가 공개됐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공단 홈페이지에 따르면, 코란도 e-모션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306km를 인증받았다. 이는 경쟁 차종으로 분류되는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406km)이나 기아차 니로EV(385km)보다 다소 떨어지는 수치다.

이번에 주행거리 인증을 받은 모델은 히트 펌프 미탑재 모델이다. 쌍용차는 앞서 히트펌프가 탑재된 모델과 탑재되지 않은 모델, 모두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인증 자료에 따르면 코란도 e-모션은 140kW(약 188마력)의 전기 모터를 탑재했고, 2WD 모델로 출시된다. 공차 중량은 히트 펌프 탑재 모델이 1845kg, 미탑재 모델이 1840kg이다.

쌍용차는 코란도 e-모션에 대해 '패밀리카로도 손색이 없는 거주 공간과 활용성을 갖췄다'고 밝힌 바 있다.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차체 디자인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함은 물론, 소재에도 심혈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경량화 및 낮은 무게중심을 위해 쌍용차 최초로 알루미늄 후드를 적용하는 등 도심 주행에 최적화된 스타일링을 추구했다.

다만, 최근 노출된 스파이샷들을 살펴보면 기존 코란도와 큰 차이는 없을 전망이다.

코란도 e-모션은 이르면 올 상반기 공개될 전망이다. 다만, 회사가 상장 폐지를 앞두고 있고 유력한 인수 후보였던 HAAH오토모티브마저 최근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며 경영정상화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그래프(http://www.motorgraph.com)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올 뉴 렉스턴 </figcation>

[데일리카 안효문 기자] 쌍용자동차가 2020년도 재무재표에 대해 감사인의 '감사거절' 의견을 받았다. 외부 감사인이 쌍용차의 기업 존속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해서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달말까지 잠재적 투자자인 HAAH오토모티브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하지 못하면 기업회생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2009년 이후 12년 만에 쌍용차가 법정관리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자금융공시에 따르면 쌍용차는 지난 23일 재무제표 감사를 맡은 삼정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을 통보 받았다. 삼정회계법인은 감사의견 거절 이유로 '계속기업 존속 불확실성'을 제시했다. 현재 재무 상태를 검토했을 때 쌍용차가 정상적인 경영을 이어간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미다.

한국거래소는 쌍용차의 상장폐지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현재 쌍용차 주식은 거래정지 상태다.

쌍용차는 4월13일까지 해당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감사인이 의견거절을 한 사유가 해소됐다는 의견서를 제출하면 상장폐지를 유예 가능하다.

서울회생법원은 오는 31일까지 쌍용차가 잠재적 투자자의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다.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figcation>

쌍용차는 지난달 공장을 3일 가동하는 데 그쳤다. 협렵업체의 납품 거부로 정상적으로 차를 생산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다. 임직원 임금도 50%만 지급키로 했지만 이마저도 미뤄지고 있다. 쌍용차는 2020년 영업손실 4494억원을 보고했다. 지난해 말 기준 자본 잠식률은 111.8%에 달해 완전자본 잠식 상태다.

쌍용차의 경영 정상화 여부는 미국 자동차유통사 HAAH오토모티브에 달렸다. HAAH 측은 당초 지난달 말 투자협상 체결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지만, 자료 검토 및 외부 투자자 설명 등을 이유로 현재까지 답변을 미루고 있다. 업계에서는 HAAH가 26일 최종 결정 내용을 통지할 것이란 이야기가 나온다.

쌍용차는 2009년 이후 12년 만에 법정관리 위기에 직면했다. 노조의 공장점거와 노사간 극심한 충돌사태가 발생했던 2009년 '쌍용차 사태'가 재현되지 않으려면 HAAH의 투자결정과 쌍용차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쌍용차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도 쌍용차의 '뼈를 깎는' 노력을 요청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최근 쌍용차 노사에 "현재 조정안은 안이하다. 포기할 것은 다 포기한다는 각오로 잠재적 투자자(HAAH오토모티브)와 협상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쌍용자동차가 캠핑카 전문제작업체인 ㈜로드트립캠핑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 캠핑 박람회인 '2021 캠핑&피크닉 페어'에 다양한 레저 활동이 가능한 티볼리 에어 5인승 캠핑카를 최초로 공개했다고 4읽 밝혔다.

쌍용차는 4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2021 캠핑&피크닉페어'에 참가하며, 처음 선보이는 '티볼리 에어 5인승 캠핑카'를 비롯해 '티볼리 에어 2인승 캠핑카', '렉스턴 스포츠 칸', '올 뉴 렉스턴' 등 총 5대를 다양한 캠핑 용품과 함께 전시하여 언택트 시대에 맞춘 레저 트렌드를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서 최초 공개한 티볼리 에어 5인승 캠핑카(R3기준)는 지난 10월 선보인 티볼리 에어 2인승 캠핑카에 이어 공간 활용성을 더욱 극대화하여 새롭게 개발한 모델로 5인 탑승은 물론 2층 프레임&팝업텐트 설치로 4인이 편안하게 취침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변환식 키친시스템 가구, LED TV, 무시동 히터, 냉장고, 외부 샤워기시스템, 블루투스 오디오시스템, 전기/수전시스템 등 4인 가족이 여유롭고 편안한 캠핑을 만끽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편의 장비를 갖추었다.

또한, 최고급 바닥 카펫, 북유럽 스타일의 블랭킷 적용과 더불어 차량 전용 커튼, 화이트보드, 천정부 간접 조명, 파우더 미러 등은 프라이빗 힐링을 위한 최적의 감성 공간을 연출하여 캠핑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 밖에도 오프로드 패키지 컨셉트로 전시한 렉스턴 스포츠 칸은 익스트림 스포츠는 물론 다양한 레저 활동을 가능케하는 자동차 의 끝판왕을 보여줬으며, 올 뉴 렉스턴은 2열 폴딩 시 1,977ℓ로 확장되는 넉넉한 실내 공간을 활용한 차박 패키지를 선보여 캠핑과 차박을 즐기는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차처럼 빠른 정보, 모토야! www.motoya.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