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현대차'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달력

7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M 투데이 최태인 기자]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선보일 '팰리세이드 풀체인지(LX3)' 블랙 에디션 예상도가 이목을 끌고 있다.

예상도 유튜브 채널 뉴욕맘모스는 최근 국내에서 포착된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테스트카를 기반으로 제작한 예상도를 공개했다. 전체적으로 박시하고 직선미를 강조한 스타일이 특징이며, 내외장을 모두 블랙 디테일로 꾸민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전면부는 큼직한 사각형태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으며, 헤드램프는 그릴 일체형 디자인이다.

헤드램프 안쪽 그래픽은 굵직한 픽셀 형태의 세로형 주간주행등(DRL)이 적용됐으며, 풀 LED 라이트가 눈길을 끈다. 범퍼는 현행 팰리세이드 캘리그래피 트림과 유사한 모습이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측면부 역시 전형적인 정통 SUV 형태다. 윈도우라인은 전면 윈드실드와 A필러로 연결되는 랩어라운드 디자인이며, 이를 통해 루프는 마치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플로팅루프'가 적용됐다. 또 현행 팰리세이드처럼 'ㄱ'자 크롬몰딩을 이어받았다.

휠하우스에는 'ㄷ'자 펜더 라인이 특징이며, 플래그타입 사이드미러가 적용됐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후면부는 테일램프 박스가 세로형 디자인이 적용됐고, 안쪽 그래픽도 전면 램프와 통일감을 살린 입체적인 픽셀 LED 구성이다. 테일게이트 중앙에 현대 엠블럼과 PALISADE 레터링이 위치하며, 리어범퍼는 심플한 디자인으로 마무리됐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실내는 수평형 레이아웃을 갖는다. 스티어링 휠은 싼타페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며,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12.3인치 센터 디스플레이가 통합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 또 최신 트렌드에 따라 조수석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모습이다.

팰리세이드 풀체인지는 7인승부터 9인승 모델까지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카니발 하이리무진과 경쟁할 4인승 하이루프 버전도 선보인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테스트카 (출처 : 숏카)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테스트카 (출처 : 숏카)

파워트레인은 총 3가지로 선보인다. 2.5 가솔린 터보와 새롭게 개발 중인 2.5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가 추가된다. 기존 3.8 가솔린은 3.5 가솔린으로 대체되고, 2.2 디젤은 단종된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는 오는 12월 최초 공개될 예정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현대차는 2025년형 싼타페를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2025년형 싼타페는 고객이 선호하는 편의 및 안전 사양이 확대 적용됐으며, 실용성을 높인 신규 트림 및 옵션 패키지 등이 도입돼 상품 경쟁력이 강화됐다. 공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도 변경됐다. 가격은 3546만원부터다.

2025년형 싼타페 가격은 2.5 터보 익스클루시브 3546만원, 프레스티지 3863만원, 프레스티지+ 4005만원, 캘리그래피 4442만원이다. 하이브리드는 세제혜택 반영 기준 2WD 익스클루시브 3888만원, 프레스티지 4205만원, 프레스티지+ 4347만원, 캘리그래피 4739만원이다. 

4WD는 4254~5101만원이다. 프레스티지+ 트림은 프레스티지 트림을 기반으로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 측방주차거리경고,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기본 탑재해 편안한 주행/주차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트림이다.

2025년형 싼타페는 프레스티지 트림부터 업그레이드된 전방 충돌 방지 보조, 고속도로 주행보조2,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진출입로) 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 구성된 현대 스마트 센스가 기본화돼 고객 선호 사양을 갖췄다.

또한 2025년형 싼타페는 엔트리 트림 익스클루시브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디지털키2, 듀얼 스마트폰 무선 충전 등 고객 최선호 사양으로 구성된 옵션 패키지가 신설됐다. 2025년형 싼타페는 공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변경, 소화기 등이 적용됐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현대차가 지난 3일 신형 쏘나타 택시를 출시했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북경현대기차유한공사가 중국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기존 쏘나타 뉴라이즈 택시 대비 휠베이스를 70mm 늘려 넓은 2열 공간을 확보했다. 터치식 공조기 등 기본 옵션이 탄탄하다. 가격은 2480만원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택시 전용 모델인 뉴라이즈를 단종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아이오닉5 택시와 그랜저 풀체인지 택시 판매에 주력했는데, 기존 뉴라이즈 택시와 비교해 높은 가격으로 접근성이 좋지 못했다. 이에 현대차는 중국에서 제작된 쏘나타 롱보디를 택시로 재출시했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모빌리티 단일 트림으로 가격은 법인 및 개인(일반과세자) 기준 2480만원, 개인택시(간이과세자, 면세) 기준 2254만원이다. 3개 트림으로 운영됐던 뉴라이즈 택시와 비교해 일반과세자 기준 시작 가격은 535만원 높고, 최상위 트림보다는 70만원 낮다.

신형 쏘나타 택시 가격은 이전 뉴라이즈 택시 중간 트림과 최상위 트림 사이로 볼 수 있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신형 그랜저 택시보다 가격이 1100만원 저렴한 것이 강점이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중국에서 생산 및 수입되지만 계약과 출고 과정, A/S 등은 내수 차량과 같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롱보디 사양인 중국형 쏘나타를 기반으로 한다. 신형 쏘나타 택시 차체 크기는 전장 4945mm, 전폭 1860mm, 전고 1445mm, 휠베이스 2875mm다. 휠베이스는 뉴라이즈 택시보다 70mm 길다. 또한 일반 쏘나타 대비 전장과 휠베이스가 각각 35mm 길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그랜저 풀체인지와 비교하면 전장은 90mm, 휠베이스는 20mm 짧다. 신형 쏘나타 택시에는 내구성을 강화한 택시 전용 스마트스트림 LPG 2.0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 최고출력 146마력, 최대토크 19.5kgm, 복합연비는 9.5km/ℓ를 확보했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뉴라이즈 택시보다 최고출력과 최대토크가 소폭 하락했으며, 복합연비는 0.1km/ℓ 올랐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택시 특유의 가혹한 주행 환경을 고려해 일반 차량보다 2배 강화된 내구 시험 과정을 거쳤으며, 약 20%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를 탑재했다.

신형 쏘나타 택시는 전자식 변속 칼럼, 차로 유지 보조 등 최신 운전자 보조 시스템, 9 에어백 시스템, LED 헤드램프, 윈드실드 및 1열 도어 이중접합 차음유리, 12.3인치 내비게이션, 스마트 트렁크, 공기 청정 등 듀얼 풀오토 에어컨, 운전석 전동 시트 등이 기본 사양이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안전 하차 보조 등으로 구성된 현대 스마트센스, 1열 통풍 시트는 선택 사양이다. 또한 스마트 택시 표시등을 제공한다. 스마트 택시 표시등은 전/후면에 LED 표시창, 측면 프로젝터가 지면에 멈춤 신호를 투사하는 등 기존 택시 표시등과 차별화됐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현대차그룹이 오는 2025년 2.5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선보인다. 주력인 1.6 터보 하이브리드보다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문은 있었지만, 사내 관계자를 통해 언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캡처=기아 노조 소식지

최근 기아 노조는 "전동화 시대로 변화됨에 따라 파워트레인 부문 조합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세타3 T-GDI 전개를 위한 사측의 투자를 쟁취했다"고 밝혔다.

노조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5년부터 세타3 엔진을 기반으로 만든 2.5 가솔린 터보와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화성공장에서 만들어진다. 가솔린 터보와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를 합쳐 연 11만대 수준의 생산이 예정됐다. 현대차 역시 비슷한 수준의 물량을 울산공장에서 생산할 전망이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신규 파워트레인이 탑재될 첫 번째 차량은 신형 팰리세이드가 유력하다. 현재 팰리세이드는 3.8 가솔린과 2.2 디젤 모델만 판매되는데, 가솔린은 배기량이 높아 연비가 낮다는 한계가 있고, 디젤은 환경 규제 탓에 단종이 불가피하다.

앞으로 나올 현대차그룹의 대형 차종에는 2.5 터보 하이브리드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RV인 카니발과 스타리아도 마찬가지다.

기아 신형 카니발

2.5 터보 하이브리드가 상용화된다면 친환경차 인증도 한층 수월해진다.

이달 출시된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배기량이 낮아(1.6리터) 중형 자동차로 분류됐다. 중형차의 경우 연비가 14.3km/L를 넘겨야 친환경차 인증이 가능하지만, 기아 자체 측정 결과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14.0km/L로 친환경차 인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에 따르면 배기량이 2000cc를 넘을 경우 대형차로 분류된다. 대형차의 연비 기준은 13.8km/L로 한결 여유롭다. 현재 팰리세이드 3.8 가솔린의 연비가 9.3km/L인 만큼(18인치 타이어 기준) 배기량이 훨씬 적고 최신 기술이 집약된 2.5 터보 하이브리드는 13.8km/L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배기량이 비슷한 토요타 시에나 하이브리드의 경우 2.5 자연흡기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기반으로 14.5km/L의 복합 연비를 발휘한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3조8218억원을 기록했다. 사상 처음 4조원을 넘은 지난 2분기보다는 소폭 감소했지만, 역대 3분기 중에서는 최고의 실적(이전 기록 2011년 3분기 2조989억원)이다.

현대차는 26일 컨퍼런스콜을 열고,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8.7% 증가한 41조27억원을 가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46.3% 늘어난 3조8218억원, 당기순이익은 134.0% 오른 3조3035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9.3%로, '마의 벽'이라고 불리는 10%에 근접했다.

이 같은 결과는 내수, 수출 모두 고른 실적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3분기 내수 판매는 16만6969대로 전년대비 2.8% 증가했고, 수출은 87만8541대로 1.9% 늘었다.

특히, 디 올 뉴 싼타페를 비롯한 고가 SUV 중심의 판매 성장세와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해외 시장의 실적 호조가 돋보인다. 여기에 원달러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실적에 도움이 됐다. 지난해 3분기에는 세타2 엔진 결함에 따른 보상 및 평생 보증 비용으로 1조3600억원이 반영된 만큼 기저 효과에 따른 증가 효과도 더해졌다.

현대차 싼타페

현대차 관계자는 "주요 지역의 수요 확대로 향후 실적이 양호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중동 지역 내 국가 간 갈등 등 지정학적 영향 및 인플레이션 확대, 높은 금리 수준에 따른 신흥 지역 위주 수요 위축 우려 등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전기차 브랜드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강화하는 등 친환경차 판매를 늘려갈 예정이다. 더불어 생산 및 판매 최적화와 더불어 제네시스 GV80 부분변경 및 GV80 쿠페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전략으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