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스텔란티스/페라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세계적인 팝스타 저스틴 비버가 페라리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고급 자동차 제조사들은 자사 차량을 지나치게 개조하거나, 고의로 파손시키거나, 또는 부실하게 관리하는 등 브랜드 가치에 악영향을 주는 고객을 블랙리스트에 등록하기도 한다. 가수 저스틴 비버도 예외는 아니었다.

지난 2016년 8월 저스틴 비버는 흰색의 페라리 458 이탈리아를 구매했다. 4.5L 자연흡기 엔진으로 최고출력 563마력을 내고, 3.4초의 제로백과 최고속도 325km/h를 뽐내는 모델이다.

페라리에 미움을 산 저스틴 비버의 첫 번째 실수는 해당 차량을 구매한 지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일어났다. 베벌리 힐즈의 호텔 주차장에 페라리 차량을 주차한 뒤 3주간 차량을 찾지 않은 것이다.

다행히 이 정도는 가벼운 실수로 넘어갔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저스틴 비버는 두 번째 ‘잘못’을 저지른다. 그는 유명한 차량 스타일링 업체인 웨스트코스트 커스텀(West Coast Customs)에서 페라리 458에 리버티 워크(Liberty Walk) 와이드바디 키트를 풀로 장착했고, 기존의 흰색 차체를 일렉트릭 블루 랩으로 덮었다.

휠도 바꾸고 운전대의 페라리 로고 또한 일렉트릭 블루 색상으로 바꿔 버렸다. 페라리는 차주들에게 차량 구매 후 1년 이내에는 차량을 개조하는 것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1년이 지난 후에도 차량의 스펙에 변화를 주는 큰 규모의 개조는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페라리에서 저스틴 비버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게 된 결정타는 세 번째였다. 와이드바디로 개조된 그의 458 차량을 페라리의 허가 없이 40만 달러(약 5억 6000만 원)에 경매로 판매한 것이다.

 페라리에서는 고객들이 페라리 차량을 구매한 후 1년 이내에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특히나 유명인이라면 더욱 엄격하게 이 규제가 적용되는데, 단순히 잠시 소유했다가 팬에게 판매하는 것만으로 차익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차량을 구매하고 1년이 지난 후에라도 차량 경매 전 페라리 측에 고지해야 한다. 페라리 측에서 재매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스틴 비버는 페라리 측에 알리지 않고 페라리 458을 경매에 부쳐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게 된 것이다.

페라리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유명인은 저스틴 비버 외에도 킴 카다시안, 50센트, 격투기 선수 메이웨더와 자동차 전문기자 크리스 해리스까지 수도 없이 많다. 페라리의 엄격한 블랙리스트 기준에 대해 네티즌들은 유명 인사들을 계속해서 블랙리스트에 등재한다면 역설적으로 페라리의 명성에 오히려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저스틴 비버가 페라리의 블랙리스트에 올라 인터넷을 달구자, 페라리 측에서는 블랙리스트의 유명 인사들이 페라리 차량 구매를 완전히 금지당한 것은 아니라며, 일반적인 대량생산 모델은 여전히 구입 가능하다고 밝혔다. 블랙리스트의 유명 인사들은 라페라리와 같이 한정 생산되는 모델만 구매할 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라페라리는 블랙리스트에 오르지 않아도 구입하기가 어렵다. 페라리에서 처음 라페라리를 공개했을 때 1000만 달러(약 142억 원) 상당의 페라리 차량을 소유한 기존 고객만 라페라리 구입이 가능하도록 조건을 내걸었다. 전 레이싱 드라이버 프레스턴 헨(Preston Henn) 조차 라페라리를 구입할 수 없었다.

박도훈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가 ‘라페라리’ 모델의 후속작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페라리 라페라리는 300만 달러(약 42억 원)를 호가하는 슈퍼카로 2018년에 단종된 후 후속 모델에 대한 소문만 파다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이탈리아 오토파레리(autopareri) 포럼에는 라페라리의 후속작인 F250가 2024년에 출시될 수도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페라리 측은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F250라는 이름 또한 확정적이지 않다. 다만 이 소식이 사실이라면 조만간 프로토타입의 테스트 주행 스파이샷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페라리의 차세대 하이퍼카는 2024년 말에 출시될 예정으로 전해졌다. 이 쿠페 차량은 599대 한정 생산되며, 30대 한정판 레이스 트랙 전용 XX 차량이 그로부터 2년 후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페라리는 2027년 199대 한정으로 스파이더 차량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모두 828대의 페라리가 생산될 예정인데, 첫 번째 테스트 뮬은 지난 7월 도로 주행시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2월에는 프로토타입 테스트가 시작되고, 프리 프로덕션 모델은 2024년 1분기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페라리의 차세대 하이퍼카는 전기 파워트레인을 사용하며, 라페라리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자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드라이브 트레인과 주행거리, 최고속력 등 퍼포먼스에 대한 상세 정보는 공식 발표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도훈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프로산게만큼이나 비판과 옹호가 엇갈리는 모델은 근래에 거의 없었을 것이다. 왜냐 하면 예전에 포르쉐가 카이엔을 만들었을 때와 같이 ‘페라리가 SUV를 만들다니!’라는 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 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라리 프로산게는 왜 태어났을까? 그리고 앞으로 브랜드에게 어떤 비젼을 제시할 수 있을까? 함께 생각해 보도록 하자.
 
먼저 프로산게와 함께 제시되는 질문을 살펴보자. 앞서 말한 브랜드 정체성 관련 내용 이외에 두 가지 정도가 대표적일 것이다. 두 번째 쟁점은 ‘프로산게를 SUV로 분류하는 것이 옳으냐?’이고, 마지막은 ‘최신형 모델임에도 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았는가?’일 것이다.
 


위의 질문들에 대답을 하려면 왜 다들 SUV를 만드는가부터 생각해 보아야 한다.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남 주기 싫다’일 것이다. 21세기 초의 자동차 시장은 럭셔리 및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시장 확대와 SUV의 주류 시장 진출일 것이다. 이를 통합하는 것이 바로 프리미엄 / 럭셔리 SUV들이고 모든 럭셔리 브랜드들이 포르쉐를 시작으로 SUV들을 앞다투어 출시한 것이다. 
 
이보다 일찍 메르세데스 벤츠의 ML과 BMW X5로 시작된 프리미엄 브랜드의 SUV와 위의 럭셔리 브랜드의 SUV들을 구분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의 SUV는 그 시장의 대부분이 신규 고객이거나 기존 세단 고객의 대체 고객인 경우이다. 물론 대형 세단을 가진 기존 고객이 추가 구매하는 중형 이하의 SUV들도 적지 않기는 하다. 그러나 스포츠 성향이 강한 럭셔리 브랜드 혹은 쇼퍼 드리븐 리무진 중심의 럭셔리 브랜드에게 SUV는 순전히 추가 구매의 대상이다. 기존 고객들의 추가 구매를 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제대로 열린 것이다. 
 
이전까지는 럭셔리 SUV 전문 브랜드인 랜드로버의 레인지로버가 이 시장의 주력 모델이었다. 혹은 독일 프리미엄 3사의 SUV들을 추가 구매하는 정도로 고객들은 만족했었다. 럭셔리 브랜드들은 자신의 고객들이 다른 브랜드에서 SUV를 구매하는 것이 아쉽기는 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기가 직접 개발하여 판매하기에는 시장이 충분히 크지 못했었기 때문에 럭셔리 SUV 시장에 진입할 수 없었다. 그래서 딜러 차원에서는 오히려 고객 서비스의 일환으로 고객이 원할 경우 타 브랜드의 SUV 구매를 주선하는 경우까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21세기 들어 럭셔리 SUV 시장이 급성장하자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이제는 스스로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는 규모가 되었고 기존 고객이 혹시라도 다른 브랜드로 떠날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서 해소될 수도 있는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번 페라리 프로산게의 경우도 2010년대 중반까지는 판매량을 제한하여 희소성을 높여서 브랜드와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정책을 택했던 페라리가 2015년 10월 스핀오프 이후 판매량 확대 정책으로 선회한 뒤 본격적으로 시장 확대를 꾀하는 중요 모델인 것이다. 
 
그런데 프로산게는 다른 럭셔리 브랜드들의 SUV에 비하여 크로스오버의 성격이 더 강하다. 즉, 어떻게 보면 패스트백 세단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정도다. 그것은 페라리는 오프로드 주파력이나 거대한 공간을 통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는 SUV를 원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페라리가 원했던 것은 빠르고 럭셔리하게 4명이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페라리 다운 승용차를 원했던 것이다. 그리고 페라리 브랜드에 걸맞으면서 현재 시장에도 잘 이해될 수 있는 선택이 바로 프로산게의 스타일이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대단히 스포티한 모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길이 4.97미터, 폭 2.02미터, 휠베이스 3.02미터의 거대한 차체로 여유로운 공간을 확보한 글자 그대로 잉여력 극한의 세컨드 카가 바로 프로산게의 정체인 것이다. 
 
사실 프로산게는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완벽한 새 모델이 아니다. 지난 십여 년의 발전을 통하여 최종 진화판으로 프로산게가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페라리는 4인 탑승용 GT 설룬으로 페라리 FF를 선보였었다. 페라리 FF는 높이를 제외한 디멘젼에서도 프로산게보다 약간씩 작을 뿐 매우 큰 차체를 가진 12기통 모델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기술적으로도 FF는 지금 프로산게가 채용한 4륜 구동 시스템의 원천이 되는 2 트랜스미션 4륜 구동 시스템을 처음 선보인 모델이기도 하다. 그리고 FF의 진화 버젼인 GTC4 루쏘는 4WS을 채용하여 거대한 차체를 좁은 공간에서도 다루기 쉽게 하면서 동시에 크고 무거운 차량의 조종 성능을 향상시키는 진화를 더했다. 그리고 마침내 페라리의 최신 기술들과 크로스오버의 높아진 차체, 그리고 두개의 뒷문을 더하여 완성된 결정판이 프로산게인 것이다.
 


두 번째 질문, 즉 왜 하이브리드가 없느냐도 이런 관점, 즉 프로산게는 ‘페라리 고객들의 잉여력을 극대화한 최고급 세컨드 카’라는 관점에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프로산게는 페라리 고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럭셔리 관점에서의 가장 큰 호화로움을 제공한다. 따라서 효율성과 하이테크라는 8기통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나 PHEV보다 심플하고 존재감이 두드러지는 12기통 자연 흡기 엔진을 만끽할 수 있는 잉여력, 즉 럭셔리를 제공하는 것이 새로운 장르의 새로운 모델인 프로산게가 확실하게 정점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강렬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프로산게의 하위 버젼들을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추측이다. 환경을 소모할 수 있는, 즉 오염세를 낼 수 있는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시작한 프로산게는 하이테크와 미래형 파워트레인을 통하여 보다 젊고 진취적 고객층까지 담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최근들어 부각되고 있는 영&리치 럭셔리 고객층을 향한 접근법이기 때문이다.
 
프로산게는 단순한 SUV가 아니다. 페라리가 던지는 진정한 럭셔리로의 초대장이었던 것이다. 
 
글 / 나윤석 (자동차 전문 칼럼니스트)

자동차에 대한 모든 것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최초의 SUV 푸로산게에 V12 엔진을 탑재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사전 주문이 폭발했다. 

페라리 최고 마케팅 책임자 엔리코 갈리에라(Enrico Galliera)는 최근 페라리 본사에서 열린 푸로산게 언론 공개행사에서 “폭주하는 푸로산게의 수요로 인해 곧 주문을 마감시켜야 할 수도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실제 주문 건수를 정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페라리의 기대보다 훨씬 수요가 컸다고 전했다.

리미티드 에디션은 보통 몇백 대의 생산량으로 정식 공개도 전에 판매가 완료되지만, 푸로산게의 경우 연간 수천 대를 생산할 계획이기 때문에 주문이 일찍 마감될 것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다. 

 

 

페라리 브랜드의 희소성과 핵심 레인지 모델의 판매량을 지키기 위해 푸로산게 생산량은 페라리의 연간 총 생산량의 20% 이하로 유지될 계획이다. 이럴 경우 페라리의 연간 생산량이 1만 5000대인 점을 감안할 때, 푸로산게는 연간 3000대 정도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갈리에라는 페라리의 생애 주기가 보통 5년 정도라고 언급했는데, 이를 통해 푸로산게가 총 1만 2000~1만 5000대 정도 생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또한 푸로산게의 생산 단계 돌입을 발표한 2018년 9월부터 상당수의 사전예약이 접수됐지만, 지난 5월 푸로산게의 V12 엔진 탑재 소식이 발표된 후 사전예약이 ‘폭발’했다고 밝혔다.

페라리 측은 푸로산게의 높은 인기를 예감하고, 한 모델의 인기가 페라리의 판매량을 독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생산량에 제한을 걸어뒀다.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SUV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푸로산게의 흥행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갈리에라는 “페라리의 설립 정신인 희소성을 지키기 위해 수요와 공급을 조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페라리의 신규 고객층에서 몇 대의 푸로산게 주문이 들어왔는지 정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상당수의 신규 고객층이 유입되고 있다면서 “푸로산게가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어 접근하기가 더 쉬운 것으로 보인다. 페라리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갈리에라는 “신규 고객은 차량을 받아보기까지 오래 기다려야 할 것”이라며 “기존 고객에 대한 보상 차원으로 푸로산게를 먼저 받아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조윤주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프로산게 티저 영상

스포츠카의 대명사 페라리가 13일 브랜드 첫 SUV를 출시한다. V8 엔진이 장착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페라리의 플래그십 모델에만 달리는 V12 파워트레인이 적용된다. 출시를 앞두고 페라리는 프로산게의 실루엣이 담긴 15초 분량의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우렁찬 배기음이 새로운 스포츠 SUV 탄생을 알린다.

티저와 유출된 사진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전면은 최근 페라리가 출시한 스포츠카가 연상된다. 헤드램프는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SF90이 떠오른다. SUV답게 최저 지상고를 높인 점이 특징이다.

페라리 공장에서 유출된 프로산게 사진

전반적인 실루엣은 SUV의 적재공간 확보에 따른 투박함보다는 스포츠카의 매끄러움에 가깝다. 쿠페 스타일로 다듬은 트렁크 라인이 유려한 스타일링의 방점을 찍는다. 테일램프는 좌우 각각 두 개씩 달린다. 로마, 296GTB와 동일한 디테일이다.

실내 구성은 알려진 바 없지만 2+2 형태의 GT카를 표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인 4명이 타고 고속으로 질주하는 페라리 GT카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페라리는 슈퍼 스포츠카에는 센터 디스플레이를 삭제하고 GT카에는 센터 디스플레이를 넣는 식으로 모델을 구분한다. 따라서 프로산게에는 센터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프로산게는 프론트 미드십 방식이다. 2열과 적재 공간을 넉넉히 확보하기 위한 선택이다. 놀라운 점은 기존의 예상을 뛰어넘은 자연흡기 V12 엔진의 탑재다. 페라리의 812슈퍼페스트 출시 이후 12기통 엔진을 장착한 첫번째 모델이 된다.

페라리 공장에서 유출된 프로산게 사진

812 슈퍼패스트 동력 성능을 바탕으로 프로산게 출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812 슈퍼페스트에는 V12 6.5L 자연흡기 엔진과 7단 DCT가 조합된다. 해당 파워트레인은 최고출력 800마력, 최대토크 73.2kg.m를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 도달 시간은 2.9초, 최고속도는 340km/h다. 폭발적인 힘을 뒷바퀴로만 보낸다. 프로산게는 SUV로 만들어지는 만큼 출력에서의 디튠과 4륜구동 적용을 예상해 볼 수 있다.

페라리 812 GTS

프로산게 역시 생산 물량 제한을 둘 것으로 점쳐진다. 페라리 측은 “현재 생산하는 차량 5대 중 1대 만을 SUV에 배정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경쟁 모델로 꼽히는 람보르기니 우루스가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것과 반대로, 페라리 브랜드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정으로 람보르기니 우루스, 벤틀리 벤테이가, 에스턴마틴 DBX 등과 달리 희소성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산게의 공식 데뷔는 오는 13일이다. 연말 양산을 시작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고객에게 인도된다.

남현수 에디터 hs.nam@carguy.kr

카가이 자율주행 연구소 이동의 즐거움 <카가이> www.carguy.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