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기아' 태그의 글 목록 (4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기아의 대표 대형 RV 카니발이 한층 세련되고 강인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기아는 27일(금) ‘더 뉴 카니발’의 외장 디자인을 최초 공개했다. 더 뉴 카니발은 지난 2020년 8월 출시 후 많은 고객들의 사랑을 받은 4세대 카니발의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3년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상품성 개선 모델이다.

 

더 뉴 카니발은 기아의 브랜드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에 기반한 ‘현대적인 대담함(Modern Boldness)’을 콘셉트로 정제된 세련미와 SUV같은 강인함이 조화를 이룬 외관을 갖췄다.

전면부는 수직 형상의 헤드램프와 ‘시그니처 스타맵 라이팅’ 주간 주행등(DRL)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했으며 고급스러운 디테일이 강조된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해 웅장한 느낌을 준다. 여기에 단순하면서도 정제된 디자인의 범퍼와 날렵하게 다듬은 하단부 스키드 플레이트가 어우러져 세련되면서도 존재감 있는 전면부 디자인을 완성했다.

 

측면부는 수직 형상의 헤드램프와 리어 콤비네이션램프가 직선의 캐릭터 라인을 따라 조화롭게 이어져 균형감이 느껴지며 새롭게 디자인된 알로이 휠을 적용해 단단하고 강인한 느낌을 강조했다.

후면부는 번호판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노출형 핸들을 없애 넓고 깔끔한 테일게이트를 구현했으며, 좌우가 연결된 ‘스타맵 리어 콤비네이션램프’를 적용해 전면부와 통일감을 주면서 고급감을 더했다.

 

또한 블랙 클래딩이 적용된 범퍼 하단부와 와이드한 스키드 플레이트의 조화를 통해 더욱 견고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디자인 특화 트림인 그래비티는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과 휠이 적용됐으며, 루프랙, C필러∙테일게이트∙도어 가니시, 전∙후면 스키드 플레이트 등에 다크 메탈릭 색상을 적용해 강인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극대화했다.

 

더 뉴 카니발은 신규 색상인 아이보리 실버를 비롯해 스노우 화이트 펄, 아스트라 블루, 오로라 블랙 펄, 판테라 메탈, 세라믹 실버 등 6종의 외장 색상을 운영한다.

기아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호하는 고객을 위해 더 뉴 카니발에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해 가솔린과 디젤, 하이브리드 총 3종의 파워트레인 라인업을 운영할 예정이다.

 

기아 관계자는 “카니발은 가족 단위 고객에게 특화된 상품성을 바탕으로 독보적 패밀리카의 위상을 오랫동안 지켜온 모델”이라며 “다음 달 사전계약 시점에 맞춰 더 뉴 카니발의 상품성에 대한 상세 정보와 가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M투데이 이세민 기자] 기아의 중형 세단 'K5 페이스리프트'의 새로운 예상도가 등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자동차 디자인 예상도 유투버 뉴욕맘모스는 최근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전면부 예상도를 새롭게 공개했다.

이번 예상도의 가장 큰 특징은 헤드램프의 그래픽 변화로 'Z'자 형상의 주간주행등에'ㄱ'자 형태 조명이 추가돼 패밀리룩을 이룬다.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특히, 하단 Z자 주간주행등이 끝나는 부분이 사선으로 꺾이면서 공기흡입구까지 디자인이 이어지는 형태가 톡특하다. 또 슬림한 LED 헤드램프와 일체형 그릴 디자인은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다.

라디에이터 그릴은 내부 패턴이 유광 블랙 육각형 허니콤 모양으로 변경되며, 범퍼 또한 큼직한 공기흡입구 등 보다 공격적인 디자인을 갖춰 한층 역동적인 스타일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측면부는 현행 모델의 디자인 완성도가 높았던 만큼, 큰 변화 없이 신규 디자인의 휠 정도가 적용될 전망이다.

후면부는 기존과 동일한 커넥티드 테일램프 형태지만, 'K8'을 연상시키는 양끝부분이 리어범퍼까지 사선으로 길게 뻗어 내려오는 디자인이 적용된다.

다만 예상도와 스파이샷의 평가는 다소 냉랭한 분위기다. 현행 K5의 디자인이 워낙 잘 나온 탓에 소비자들의 평가는 현행 모델이 훨씬 낫다는 반응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공기흡입구가 너무 넓어 상하 밸런스가 너무 안 맞아보인다", "이 디자인이면 신형 쏘나타한테 밀릴 것 같다" 등의 반응들을 보이고 있다.

기아 K5 페이스리프트는 오는 10월 출시되며, 신형 쏘나타와 치열한 경쟁이 예고됐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기아는 지난 2일 2024년형 셀토스를 출시했다. 2024년형 셀토스는 1열 시트백 포켓이 기본 적용됐으며, 일부 트림 사양이 업그레이드되는 등 상품성이 강화됐다. 상위 트림은 실내 고급감이 향상됐다. 2024년형 셀토스는 가격이 인상됐으며, 풀패키지 가격은 3527만원이다.

2024년형 셀토스의 세부 가격은 1.6 가솔린 터보 모델 트렌디 2170만원, 프레스티지 2493만원, 시그니처 2665만원, 그래비티 2705만원이고, 2.0 가솔린 트렌디 2071만원, 프레스티지 2395만원, 시그니처 2567만원, 그래비티 2606만원이다. (개별소비세 3.5% 적용 기준)

2024년형 셀토스 가격은 2023년형 셀토스와 비교해 트림에 따라 1.6 가솔린 터보 트렌디 10만원, 프레스티지 34만원, 시그니처 14만원, 그래비티는 20만원이 인상됐다. 2.0 가솔린 트림은 트렌디 9만원, 프레스티지 34만원, 시그니처 15만원, 그래비티는 19만원이 올랐다.

2024년형 셀토스는 전 트림에 1열 시트백 포켓이 기본 적용됐다. 가격 인상이 가장 높은 프레스티지 트림은 전자식 변속 다이얼과 패들 시프트가 기본 사양으로 변경됐다. 또한 프레스티지 트림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니터링 팩 옵션에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가 추가됐다.

프레스티지 트림 모니터링 팩 옵션 가격은 기존 9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인상됐다. 시그니처 트림은 블랙 하이그로시 소재 도어 스위치 패널, 그래비티에는 새롭게 디자인된 전용 블랙 하이그로시 전면부 그릴이 추가되는 등 강인하면서도 세련된 인상과 고급감이 강화됐다.

기아에 따르면 셀토스는 1.6 가솔린 터보 2WD 트렌디 트림에 컨비니언스와 드라이브 와이즈, 10.25인치 내비게이션, 스노우 화이트 펄 외장 컬러, 블랙 내장 조합이 가장 많이 팔렸다. 2024년형 셀토스 풀패키지 가격은 1.6 가솔린 터보 3527만원, 2.0 가솔린 3350만원이다.

쉽고 빠른 자동차 전문 뉴스채널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기아 K5와 리비안 R1S 소유주는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수리할 때까지 조심스럽게 운전할 필요가 있겠다. 미국에서 기아와 리비안이 에어백 고정 장치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고 최근 리콜을 발표해서다.

 

기아차는 2021~23년형 K5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제대로 전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18만8912대를 리콜했다. 대상 차량은 2020년 3월 27일부터 2022년 11월 16일까지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제작된 차량이다.

 

소유주는 대리점에 방문해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올바르게 다시 장착해야 한다.

 

기아 The 2022 K5

 

이번 리콜은 기아 북미 안전 사무소의 한 엔지니어의 충돌 사고로 발견됐다. 당시 운전석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제대로 전개되지 않았고 이후 두 달도 되지 않아 리콜로 이어졌다. 기아 조지아공장 엔지니어들이 차량을 점검한 결과 운전석 커튼 에어백이 잘못 설치되었고 조수석  에어백은 올바르게 설치되었음을 확인했다.

 

이후, 기아는 기록을 검토했고 다른 이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부상자나 사망자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이번 리콜은 사고 예방책으로 보인다.

 

리비안에서 공개한 R1S

 

리비안은 2023년 2월 16일 일리노이주에 있는 조립 공장의 차량 에어백이 헐거워지면서 문제를 처음 발견했다. 리비안은 일부 에어백 고정 장치를 루프 레일에 제대로 고정하지 않은 것을 발견했고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제조 오류 조사를 시작했다. 리비안은 결함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생산 데이터에 따르면 30대의 R1S SUV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리비안 측은 "아직까지 이와 관련해 접수된 사고는 없으나 소유자가 사고를 당할 경우 느슨한 고정 장치로 인해 에어백이 잘못 전개되어 부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며 리콜 이유를 설명했다.

 

리비안은 2022년 10월 28일부터 2023년 1월 21일 사이에 일리노이주 공장에서 생산된 R1S 30대에 대해 리콜을 진행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비안은 4월 28일부터 소유주들과 연락을 취하고 사이드 커튼 에어백 고정 장치를 루프 레일에 적절히 고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 7일 BMW 또한 에어백 문제로 ix와 X1 1만5,000대 리콜을 진행했다. 이렇듯 에어백과 관련된 리콜은 주행성능이나 제동 분야의 심각한 결함인 것은 아니지만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카가이 자율주행 연구소 이동의 즐거움 <카가이> www.carguy.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기아 쏘렌토 페이스리프트 <출처=쏘렌토 MQ4 클럽>

기아 중형 SUV 쏘렌토 페이스리프트(F/L)가 국내서 포착됐다. 해외에서 야간 주행이나 눈길에서 테스트하는 모습이 포착된 적은 있지만, 국내서 근접샷 촬영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쏘렌토 풀체인지 공식 동호회 ‘쏘렌토 MQ4 클럽’에는 13일 쏘렌토 F/L 스파이샷이 올라왔다. 어느 아파트 담벼락 옆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주차된 쏘나타 F/L을 워낙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해 위장막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변경을 가늠할 수 있는 생생한 사진이다.

 

전면부를 보면 우선 헤드램프 변경이 눈에 들어온다. 기존 쏘렌토의 가로형 헤드램프와 달리 쏘렌토 F/L은 세로형 헤드램프를 적용했다.

기아 쏘렌토 페이스리프트 <출처=쏘렌토 MQ4 클럽>

기아는 EV9 등 최근 새롭게 선보이는 모델에 세로형 헤드램프를 적용한 패밀리 룩을 적용하고 있는데, 쏘렌토 F/L 역시 패밀리 룩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라디에이터 그릴의 패턴 디자인도 다소 달라진다. 은색의 반광 형태는 유지하지만, 기존 육각형 형태의 그릴 디자인에서 상단과 하단의 길이가 조금 더 길어지고 납작해진 모습이다. 더불어 전체적으로 공기 흡입구가 크고 넓어졌다.

기아 쏘렌토 페이스리프트 <출처=쏘렌토 MQ4 클럽>

자동차의 측면부를 장식하는 부품인 사이드가니시도 대체로 형태를 유지하면서 미세하게 디자인이 달라졌다. 현재는 뭉툭한 느낌이라면, F/L은 가운데 가니시를 가로지르는 선이 들어간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디자인의 휠을 적용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후면부도 근접 촬영에는 성공했지만, 위장막이 두껍게 둘러져 있어 현재 모델과 특별히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편 기아 쏘렌토 F/L은 이르면 오는 7월 출시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장훈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