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스텔란티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55 Page)

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ℓ당 15㎞이상 달리는 중형차, 가격 3000만~4000만원대

2000㏄급 중형차이면서 ℓ당 15㎞ 이상을 주행하는 연비 1등급 수입차가 잇따라 선뵈고 있다. 기름값 급등에 경기침체 심화까지 겹치면서 차량 유지비를 깐깐하게 따지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서다. 모두 경유를 연료로 사용한다는 게 공통점이다.

푸조를 수입,판매하는 한불모터스는 고연비 신차인 '308SW HDi'와 '308 HDi'를 지난 22일부터 팔기 시작했다. 연비는 ℓ당 15.6㎞,배기량은 1997㏄다. 푸조의 첫 8세대 모델이며,가격은 3650만(308 HDi)~3960만원(308SW HDi)이다.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인 308SW HDi는 최고출력 138마력에 최대토크 32.6㎏·m의 힘을 발휘한다. 308 HDi는 해치백(뒷문을 위로 여는 차량) 스타일이다.

푸조 디자인을 총괄하는 키스 라이더 디자인 디렉터는 "이번에 출시한 308 모델들은 앞창 유리와 지붕을 대형으로 만들어 채광효과를 극대화한 게 특징"이라며 "뒷좌석과 트렁크의 공간 활용성도 뛰어나다"고 소개했다.

크라이슬러 코리아는 지난 21일 연비 15.2㎞/ℓ인 세브링 터보 디젤을 출시했다. 국내에서 팔리는 중형 세단만 놓고 보면 연비가 가장 좋다. 미국차 연비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킬 대표 모델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동력 성능도 좋은 편이다. 최고출력 140마력에 최대토크 31.0㎏·m의 힘을 낸다. 6단 자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됐고,진동과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폭스바겐은 지난 6월 중형세단 파사트의 고연비 신모델을 내놓으면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파사트 2.0 TDI의 공인연비는 ℓ당 15.1㎞.실제 주행 때 연비가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시스템을 채택해 휘발유차 수준의 정숙성을 갖췄다. 작년 한햇동안 1249대가 팔렸으며,올 상반기에도 636대가 판매돼 수입 디젤차 가운데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시동키 없이 중앙 잠금 전달장치를 연결 장치에 꽂으면 시동을 걸 수 있는 인공지능 푸쉬앤고 시스템도 장착했다. 차가 정지했을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되는 오토홀드 기능도 있다. 가격은 4450만원이다.

폭스바겐의 세계적인 베스트셀링 모델인 골프 2.0 TDI는 2000㏄급 차량 중 최고 연비를 자랑한다. 1ℓ를 주유하면 15.7㎞를 달릴 수 있다. 골프는 강력한 성능 면에서도 높게 평가된다.

최고출력 140마력에 1750~2500rpm의 낮은 회전대에서 최대토크 32.6㎏·m의 힘을 발휘한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제로백)이 불과 9.3초다. 가격은 3120만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연비가 ℓ당 15㎞ 이상인 1등급 차량을 구입하면 기름값만 절약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연비 1등급 차량에 대해 경차와 동일한 세제 혜택은 물론 고속도로 통행료와 공영주차장 요금 50% 감면 등 여러 지원책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스텔란티스 > 푸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산 TT? '푸조 308RCZ'  (0) 2009.01.12
푸조, 겨울철 무상 점검 실시  (0) 2008.11.18
푸조 308 RC Z  (0) 2008.11.09
푸조 플럭스(Flux)  (0) 2008.11.09
푸조가 상상하는 자동차의 미래  (0) 2008.09.29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세계에서 제일 비싼차가 경매에서 342억이란 경이적인 금액에 팔렸다RH 합니다.
페라리 250 GTO란 이모델은 지난 62년부터 64년에 걸쳐 39대만 생산된 페라리로 경매사들은 최대 240억 정도로 예상했으나 그예상을 상회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에 팔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2천만 유로~



V12기통 2953CC엔진에 302마력 283km/h의 최고속력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페라리중에 페라리 그리고 페라리에서 가장 아름다운 페라리란 별명을 가졌던 이 250GTO는 자동차
역사에 새로운 기록을 남김으로서 그 이름을 다시한번 세상을 알리게 되었는데....
경매에서 342억이라는 기록이 나오기전까지는 이전까지 르망 24시 경주에서 승리를 거뒀던 FERRARI 330 TRI/LM이 930만달러 약 한화 100억 페라리의 최고가를 유지해왔었습니다.

위모델이 그전까지 경매 최고기록이었던 FERRARI 330 TRI/LM
342억에 팔린 Ferrari 250 GTO가  1,2년뒤에 다시 경매에 나온다면 지금의 342억에서 3천만유러 520억에 팔릴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소장가치가 엄청나군요~



익명을 요구한 페라리의 주인은 스코틀랜드 사람으로 익명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왜 익명을 요구했을까??


60년대에 최고속 280km 대단하네요...



세게에서 제일 비싼 자동차로 등재될 페라리 250 GTO


비싼 가격도 비싼 가격이지만 오래된 차를 이렇게 관리들을 했다는게 더욱 믿기지가 않네요~


이미지출처 : 야후 플리커 이미지 유투브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프랑스를 대표하는 자동차 업체 푸조. 여기 푸조가 선택한 미래의 자동차 콘셉트들이 있다. 미래 도시와 조화가 될 수 있는 이동성과 경제성을 만족하고 친환경적인 디자인. 2008 푸조 디자인 콘테스트를 통해 소개된 자동차는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호불호가 나뉠 콘셉트 디자인이긴 하다.

오스카 조안슨이 디자인한 푸조 888.

좀 더 편리한 주차라는 부분에 포인트를 둔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와 네 바퀴에 뭔가 특별한 기능을 추가했을 것 같은 디자인이며 태양 에너지 패널도 빼놓지 않았다.

잉휘추(Ying Hui Choo)의 작품 푸조 블레이드(Peugeot Blade).

달리는 즐거움에 초점을 맞췄다는 디자인으로 무엇보다 후면에 자리한 6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가 눈길을 끈다. 전면의 디자인도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터키 디자이너 Emre Yazici의 작품 EGO.

두 개의 바퀴만으로 움직이는 초경량 모델로 조작은 조이스틱을 통해 이뤄진다. 이러한 일 인승 자동차는 기존 자동차 대비 1/3 수준의 공간을 차지해 주차도 쉽다고 하는데 매끈한 디자인만큼 운전이 쉽고 안전할지가 관건일 듯.

미국의 톨가 메틴(Tolga Metin)이 디자인한 푸조 마그넷(Peugeot Magnet).

특이하게 자력으로 움직이는 차로 일본의 자기 부상 열차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는 자동차다. 궁극의 대도시형 자동차로 디자이너가 얘기했다고 한다.

우람 리(Woo-Ram Lee)라는 프랑스 디자이너의 작품인 모빌(MoVille).

일인용 캡슐에 세 개의 자성 구슬 바퀴를 달고 있는 자동차로 최근 이런 콘셉트 모델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긴 한데 과연 미래 이동 수단으로 이런 일인용 모델이 각광을 받게 될지 모르겠다.

중국의 케 구오(Ke Guo)가 디자인한 프로(Pro).

날렵한 디자인이 말해주듯 물방울에서 영감을 얻은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으로 흡사 F1 경기에 나올법한 자동차 같다.

덴마크의 Michael Witus Schierup이 디자인한 푸조 버드(Peugeot Verde).

고속도로와 도심, 공원 등 자동차가 달릴 환경에 따라 차체의 길이가 달라지는 가변형 구조다. 고속도로에서는 대략 5M 정도로 늘어났다가 도심에서는 3.6M 정도로 짧아지고 공원에서는 더 작은 크기로 변한다. 가변 차체 외에도 선명한 골드와 레드 컬러가 인상적이다.

아르헨티나의 에스테반 페이스키(Esteban Peisci)가 디자인한 엑스트리트(Xtreet).
김정균씨는 IT 전반에 걸친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라디오키즈@LifeLog 블로그(www.neoearly.net)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인 팟캐스팅 실력도 수준급이다.

일반적인 고무 타이어를 대체한 듯한 세 개의 구형 바퀴가 인상적이다. 하지만 투박한 색상에 진부하게 까지 보이는 사이드 미러는 없는 게 나을 뻔 했다.

다양한 관점에서 디자인된 여러 자동차. 그 모습은 대체로 SF에서 회자되는 미래의 그것과 무척이나 닮아있어 생소하거나 비현실적인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이런 기발함과 엉뚱함 안에서도 어떤 기능은 현실화돼 실제 모델에 포함되는 일도 있으니 푸조 자동차의 미래가 어떨지 궁금하다. 자동차의 미래가 어떻게 진화해갈지 지켜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라 하겠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크라이슬러코리아(대표 안영석)는 크라이슬러 300C SRT8과 짚 그랜드체로키 SRT8을 시판한다고 16일 밝혔다.

300C SRT8은 300C의 중후한 외관에 V8 6.1ℓ 헤미엔진을 얹어 최고출력 431마력, 최대토크 58.1kg·m를 낸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의 가속시간이 5.2초, 최고속도는 265km/h를 자랑한다. 그랜드체로키 SRT8은 300C와 같은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426마력, 최대토크 58.1kg·m를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 도달시간이 4초대로, 포르쉐 카이엔 터보(4.8초), 벤츠 ML63 AMG(5초) 등과 비슷하다.

SRT8 엔진은 기존의 5.7ℓ 헤미엔진과 비교해 압축비가 9.6에서 10.3으로 올라갔으며, 실린더 직경을 99.5mm에서 103mm로 키워 배기량을 늘렸다. 새로 디자인한 실린더 헤드, 달라진 흡배기 시스템이 엔진 효율성과 힘을 향상시켜 340마력에서 25% 이상 출력이 높아진 431마력을 낸다.

300C SRT8은 터치 스크린 타입의 내비게이션/DMB가 내장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보스턴 어쿠스틱스 프리미엄 스피커 등 고급 편의장비도 장착했다. 특히 SRT 전용 사양인 마이크로 파이버 소재의 시트와, 최고급차에 쓰이는 알칸타라로 천장과 필러를 감싸 더욱 스포티한 감각을 자랑한다. 또 주행상황을 측정, 계기판에 시속 0→100km 가속시간, 앞뒤좌우의 횡가속(G), 제동거리 등 표시한다. 경량·고강성의 SRT 전용 20인치 단조휠과 앞 245/45 R20, 뒤 255/45 R20의 타이어는 물론 전용 고성능 서스펜션을 적용했다. 이탈리아제 명품인 브렘보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고출력 엔진과 서스펜션에 어울리는 강력한 제동성능을 발휘한다.

그랜드체로키 SRT8은 SRT 모델 전용의 온-디맨드 타입의 AWD 시스템을 채택, 4륜구동만이 누릴 수 있는 뛰어난 가속성과 주행성능을 자랑한다. 이 차도 앞 255/45 R20, 뒤 285/45 ZR20의 타이어와 전용 단조휠, 브렘보 브레이크 시스템은 물론 빌스타인제 전용 쇼크업소버와 스프링을 달아 세계 최고 수준의 제동력과 핸들링 성능을 확보했다. 기본장비로 스웨이드 소재의 프리미엄 가죽시트, 20G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포함된 MyGIG™ 오디오, 내비게이션/DMB, 후방카메라, 보스턴 어쿠스틱 스피커 시스템, 고휘도 HID 램프 등을 장착했다.

안영석 크라이슬러코리아 사장은 “SRT 모델은 세계적으로 소량 생산되므로 국내에서도 모델별로 50대 한정판매한다”며 “정밀한 핸들링이 강점인 300C SRT8과, 최고의 가속성능과 제동성능을 갖춘 그랜드체로키 SRT8을 통해 고성능차의 매력을 국내 소비자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300C SRT8의 판매가격은 8,980만원, 그랜드체로키 SRT8은 8,290만원이다.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