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우체부 :: '스텔란티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

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3월 7일, 스텔란티스 코리아가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푸조와 시트로엥, DS 오토모빌 통합 이후 처음 진행하는 간담회로, 지난해 실적과 2022년 신차 계획 및 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올해 선보일 신차 9종이 관심을 모았다.

글 최지욱 기자
사진 스텔란티스 코리아

올해 계획을 공개하기에 앞서, 제이크 아우만 스텔란티스 코리아 사장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했다. 지프는 한국 시장에서 총 1만449대를 판매해 2019년 이후(1만251대) 2년 만에 수입차 1만 대 클럽에 들어갔다. 대표 모델인 랭글러와 레니게이드가 각각 3,127대, 2,708대를 기록하며 이룬 결과다. 지난해 11월 국내 출시한 그랜드 체로키 L도 차츰 주력 차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비스 품질 개선도 눈에 띈다. 서비스센터 예약 대기 일수를 평균 6.9일에서 3.7일로 줄였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 프로세스 현장 모니터링을 도입해 고객 추천 지수(NPS)를 4.1% 높였다. 아울러 지난해 런칭한 지프 오너 전용 맴버십 ‘지프 웨이브’에 대한 반응도 폭발적이다. 현재까지 오너 약 7천 명 이상이 가입했고, 이 가운데 1천 명은 ‘지프 캠프’와 ‘지프 와일드 트레일’ 등 지프 오너만이 즐길 수 있는 행사에 참가했다.

 

스텔란티스 코리아의 올해 계획은?

스텔란티스 코리아는 올해 지프와 푸조, DS 등 그룹 산하 브랜드에서 신차 총 9종을 출시한다. 지프는 직렬 4기통 1.3L 가솔린 엔진을 얹은 2022년형 레니게이드를 선보인다. 더불어 순정 T맵 내비게이션을 넣은 컴패스, 올 뉴 그랜드 체로키 5인승 버전, 그랜드 체로키 4xe(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오는 2025년까지 모든 라인업에 전동화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푸조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과 새로운 엠블럼을 담은 308을 출시한다. 이와 함께  가솔린 엔진을 넣은 3008, 5008도 투입한다. DS는 DS 7 크로스백과 DS 4 가솔린 모델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지프는 수도권에 몰려있는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18개를 2023년 경상도와 전라도로 확대하고, 2024년까지 전국 네크워크를 30개로 늘린다. 더불어 딜러사와 협업해 기존 서비스센터 일부를 확장 또는 이전해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푸조는 현재 전시장 14개, 서비스센터 16개를 갖췄다. DS는 전시장 1개와 서비스센터 9개를 운영한다. 두 제조사는 고객 경험 개선에 집중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딜러사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푸조는 2024년까지 전시장과 서비스센터를 각각 20개씩 늘린다. DS는 온라인 판매와 새로운 전시장 등을 도입한다.

깊이 있는 자동차 뉴스, 로드테스트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스텔란티스 산하 닷지가 향후 내놓을 전기 머슬카에 대한 힌트를 제공했다. 전기차지만 고유의 '사운드'를 갖고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스텔란티스의 카를로스 타바레스 CEO는 1일(현지시간) 오토모티브뉴스와 인터뷰를 갖고, "닷지의 전기 머슬카를 위한 사운드를 어떻게 하면 더 크고 강력하게 낼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아마 매우 생생한 사운드에 쇼킹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닷지는 지난해 그룹의 전동화 전략을 소개하는 자리를 통해 2024년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머슬카 출시를 공언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의 아메리칸 전기 머슬카를 생산하는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입장이다.

차량은 최대 800마력 이상을 발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스텔란티스의 모듈형 전기차 플랫폼 STLA 라지 아키텍쳐를 적용하고, 100kWh급 배터리팩을 탑재할 전망이다. OTA 기능이 기본화되어있는 플랫폼 특성상 다양한 기능 업데이트를 제공할 가능성도 높다.

닷지의 팬들을 열광케 한건 이 뿐만이 아니다. 발표 영상에 등장한 프랫조그(Fratzog) 엠블럼 때문이다. 이는 1962년형 폴라라 500에 최초로 탑재된 고유 엠블럼으로, 1976년까지 닷지의 다양한 라인업에 적용된 바 있다. 이는 미국의 가장 풍요롭던 시대와 닷지의 황금기를 동시에 의미한다.

회사는 올해 중 머슬카의 힌트가 될 수 있는 전기 콘셉트카를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콘셉트 등장 시점에 맞춰 순차적으로 공개될 전망이다.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그래프(http://www.motorgraph.com)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첫 SUV 프로산게의 완전한 실차 모습이 유출됐다.

 

프로산게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SUV를 만들지 않겠다고 공언해온 페라리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SUV다. 프로산게는 이탈리아어로 ‘순종’을 의미한다. 

 

자동차 전문 인스타그램 계정 ‘cochespias’는 프로산게의 완전한 모습을 사진으로 공개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 배경이 공장인 것으로 보아 제작 과정에서 실제 차량 모습이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낮은 지상고다. 전통적인 SUV의 높은 지상고와 달리, 프로산게는 머스탱 마하-E, 아이오닉 5, EV6,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등 EV 크로스오버 모델처럼 지상고가 살짝 높은 해치백에 가까운 모습이다. 

 

페라리에서 이전부터 프로산게가 SUV가 아닌 ‘FUV’(페라리 유틸리티 차량)이라고 거듭 강조한 이유가 드러나는 지점이다. 다만 낮은 지상고를 보완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어댑티브 서스펜션이 장착될 가능성이 크다. 

 

전면 디자인은 로마와 유사하다. 특히 헤드라이트 영역이 로마와 상당히 비슷하다. 휠 아치는 바디 컬러와 다른 색상으로 처리했다. 

파워트레인은 로마와 F8 트리부토 등 다른 페라리 모델에 적용된 3.9리터 트윈터보 V8 엔진을 탑재할 가능성이 크다. 향후에 800마력의 V12 옵션이 추가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모델도 출시될 것이라는 소식도 들려오는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296GTB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트윈 터보 V6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818마력, 75.4kg.m 토크를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전형적인 페라리 럭셔리와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하며 완전한 4x4 시스템을 선보인다.

 

프로산게는 페라리의 새로운 프런트 미드 엔진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프런트 액슬 뒤에 엔진을 배치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후면부에 장착하게 된다. 동력은 사륜구동으로 전달한다. 

 

페라리는 2018년 프로산게 제작 계획을 처음 발표하면서 2022년 말까지 공개하기로 선언했다. 프로산게는 올해 말 공개 후 2023년 판매를 시작한다. 출시 후 람보르기니 우루스를 비롯한 슈퍼 SUV 모델과 경쟁할 예정이다. 가격은 약 30만~40만 달러 사이(약 3억 6000만~4억 8000만 원)로 추정된다.   <사진=인스타그램 cochespias>

 

정가현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프로산게 예상 렌더링 <출처=모터1>

페라리 첫 번째 SUV 프로산게의 예상 렌더링이 공개됐다. 

 

프로산게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SUV를 만들지 않겠다고 공언해온 페라리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SUV다. 프로산게는 이탈리아어로 ‘순종’을 의미한다. 

 

외신 ‘모터1’에서 스파이샷과 주행영상을 토대로 프로산게 렌더링을 제작했다. 보닛은 아치형으로 앞 유리부터 부드럽게 아래로 떨어진다. 헤드램프는 전면 페시아 양쪽 끝에 장착돼 있으며, 그릴은 커다란 사다리꼴 형태를 갖췄다. 그릴 양옆에는 LED 주간주행등을 탑재했다. 

 

측면은 문을 따라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어지는 깔끔한 스타일링이 돋보인다. 프런트 펜더 뒤로는 측면까지 이어지는 각진 디자인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렌더링에 후면 디자인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전 프로토타입에서 후면부를 가장 두껍게 위장하고 다닌 만큼 신선한 외관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아치형 지붕이 해치백으로 흘러 들어가며, 테일이 수평으로 납작해지는 지점에 스포일러가 탑재될 예정이다. 

페라리 프로산게 스파이샷 <출처=모터1>

스파이샷과 영상은 프로산게의 지상고가 상당히 낮은 것을 보여준다. 다만, 보다 거친 외관을 위해 차량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어댑티브 서스펜션이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된 스파이샷과 영상을 종합할 때 프로산게가 바위를 오르고 사막을 달리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파워트레인은 하이브리드를 탑재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296GTB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트윈 터보 V6 엔진을 장착해 최고출력 818마력, 최대토크 75.4kg.m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V12 옵션도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프로산게는 페라리의 새로운 프런트 미드 엔진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플랫폼 적용 시 프런트 액슬 뒤에 엔진을 배치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장치를 후면부에 장착하게 된다. 동력은 사륜구동으로 전달된다. 

 

페라리는 2018년 프로산게 제작을 처음 발표하면서 2022년 말까지 공개하기로 했다. 프로산게는 올해 말 데뷔 후 2023년에 판매를 시작할 전망이다.

 

박도훈 기자

 

@thedrive 2016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

페라리 296 GTB

[데일리카 임상현 기자] 페라리가 지난 20일 브랜드 최초 V6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슈퍼카 296 GTB를 국내 출시했다. 전동화 시대를 맞아 다운사이징 전략을 296 GTB에 녹여낸 페라리는 ‘운전의 재미(Fun to drive)’ 콘셉 아래 새로운 V6 시대를 예고했다. 페라리 전통에 따라 차체 중앙에 V6 엔진을 이식한 296 GTB는 ‘SF90 스트라달레’와 ‘SF90 스파이더’를 잇는 페라리의 세 번째 PHEV 슈퍼카다.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Posted by 따뜻한 우체부
|